북한 용천역 폭발사고 발생 만 이틀 가까운 현재까지 사고원인과 피해규모, 구조 및 구호작업 진척이 외부에 알려지지 않고 있다.
북한 관영언론은 사고 사실 자체를 외면하는 상황이다.
그나마 22일 당일에 사고발생이 확인됐다는 게 과거와 다른 변화다.
용천역이 중국과 교역이 빈번한 지역이고, 휴대전화 등 통신수단 발달로 민간인들의 입소문이 빨라졌기 때문이다.
공식발표가 나오지 않는 바람에 사고를 둘러싼 추측들이 난무하고 있다.
사고원인에 대해서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노린 테러와 다이너마이트 폭발, 열차 충돌, 질산암모늄 폭발, 고압선 화재 등 여러 해석들이 나오고 있다.
피해규모도 불분명하다.
150여명이 사망했을 것이라는 설이 있나 하면 3천명이 넘을 것이라는 추정도 나온다.
피해자 구조.구호작업 역시 제대로 알려진 것이 없다.
북한 당국은 한시 바삐 사고의 전모를 공개하고 국제적인 지원을 받도록 해야 한다.
이번 사고의 규모나 여파는 북한 혼자서 감당하기 힘든 수준이라는 게 공통적인 시각이다.
지금까지 북한은 체제수호를 위해 대형재난사고의 외부세계 노출을 꺼려왔다.
그러나 외부접촉차단은 북한주민들의 고통과 희생을 늘릴 뿐이다.
지금도 사고현장에서 수많은 북한주민들이 애꿎은 죽음을 기다리고 있는 지 모른다.
이런 비인도성은 하루빨리 시정돼야 한다.
국제사회의 인도적 구조.구호활동은 거부하고, 사후 피해지원만 요구할 경우 인명경시에 대한 비난이 제기될 수 있다.
우리 정부는 북한의 요청이 있을 경우 최대한의 지원노력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
구호 및 의료 물자와 의료단의 직접 파견까지도 검토해보아야 한다.
또 재난사고를 통해 다양한 경험을 쌓은 인명구조단 및 구조장비의 지원에도 인색지 말아야겠다.
북한의 지원요청에 대비한 물자, 장비, 인력 투입의 사전 점검이 있어야 할 것이다.
거듭 촉구하거니와 북한은 국제사회를 향한 인도적 지원의 통로를 열어야 한다.
그것이 북한이 해야 할 첫 번째 피해 수습노력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