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이 실용주의적 개혁정당으로 정체성 가닥을 잡아가고 있지만 논란의 불씨가 살아나고 있다.
정동영(鄭東泳) 의장측의 이념적 경계를 허물자는 주장에 재야 출신 인사들을 중심으로 선명한 개혁노선을 추구하자며 반대 입장을 밝히고 있기 때문이다.
17대 국회의원 당선자 워크숍 첫날부터 실용주의적 개혁정당 안을 제시했던 정 의장은 워크숍 마지막 날에도 "개혁을 진보와 동일시하는 것은 이념에 대한 몰이해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개혁은 현상을 끊임없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바꾸는 것으로 진보세력의 전유물이 아니다"고 주장했다.
정 의장은 이어 "실체도 없는 이념을 내세워 닫힌 태도를 갖거나 정당을 이념으로 규정해 융통성 있는 정책을 내놓지 못한다면 시대착오"라며 "이념적 잣대로 정당의 좌표를 설정하는 것은 경직적이고 무책임하다"고 재강조, 당 정체성 논란에 쐐기를 박았다.
그러나 이에 대해 김근태(金槿泰), 김원웅(金元雄) 의원 등 재야출신 인사들이 반박하고 나섰다.
당의 단합을 위해 좌시하고 있던 재야출신 인사들이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김원웅 의원은 특히 정 의장의 발언을 놓고 "한나라당 박근혜(朴槿惠) 대표도 할 수 있는 말"이라며 강력 항의했다.
김 의원은 "탈이념 실용주의 노선은 우리당이 보수정당임을 선언한 것"이라며 "그러면 국민들이 이회창이 아니라 노무현을 뽑은 이유가 없어진다"며 "이념을 실현하기 위해 실용주의적 변용은 할 수 있지만 비판을 피하기 위해 엄연히 존재하는 이념을 부정하는 것은 철학의 빈곤"이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김근태 의원은 당 정체성에 대해 "핵심은 개혁 노선이고 이를 지키면서 실용적이고 실사구시 차원에서 대응한다는 게 워크숍 결론"이라고 말했고 이에 유시민(柳時敏) 의원은 "정 의장 개인의견으로 당론이 아니다"며 "이제부터 당 정체성 논의가 시작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열린우리당 정책위원회가 지난 26~28일 워크숍에서 130명의 당선자를 상대로 실시한 자체 설문 조사 결과 소속 의원들의 이념성향은 전체 당선자 중 62%가 '중도 진보' 내지는 '진보'인 것으로 나타나 중도보수(10%), 보수(0%)라고 밝힌 보수층을 크게 앞질렀다.
박상전기자 mikypar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