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자노트-대구시와 토개공 동상이몽

달성 현풍 개발을 보는 대구시와 한국토지공사(土公)의 '동상이몽'이 향후 큰 논란거리로 떠오를 전망이다.

개발의 목적과 방향이 너무 다른 탓이다.

대구시는 토공을 달성군 현풍면 일대 287만평에 대한 개발사업 시행자로 선정해 오는 5월 중순 기본협약을 체결할 것이라고 말하고 있지만, 솔직히 토공은 사업 참여를 확정한 것이 아니다.

토공 대구경북지사 차원에서 참여 의사를 갖고 있는 만큼, 앞으로 일이 잘 진행될 경우 사업시행자가 될 수 있을 뿐이다.

아직 초기 검토 단계임에도 불구하고 시의 입장에서는 토공의 이같은 긍정적 반응이 너무나 반갑고 고마운 것은 대구테크노폴리스 구상 때문이다.

현풍 일대에 대구테크노폴리스를 건설하려는 시가 볼 때, 토공의 참여는 막대한 개발비 부담을 피하면서 계획을 실현할 수 있는 더없이 좋은 방안으로 생각될 수 있다.

그런데 토공은 대구테크노폴리스가 아니라, '주거기능을 우선한 복합형 지방산업단지' 조성 사업에 참여하는 것을 검토한다는 입장이다.

따라서 토공이 사업시행자가 되기 위해서는 대구테크노폴리스 구상에 관계없이 자체의 계획에 따라 주거, 공장 용지 등을 조성, 분양하는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토공의 이런 입장은 사업성에서 비롯된다.

주택지역은 비교적 분양이 수월하겠지만, 공장용지의 경우 대기업이 유치되지 못한다면 상당한 고전이 예상되고, 연구시설 부지는 아예 성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게 자체 분석이다.

국력을 쏟아 추진한 대덕과학연구단지가 자리를 잡는데 10년이 넘게 걸렸고, 2002년 대구테크노폴리스와 비슷한 개념으로 완공된 충북 오창지방산업단지의 연구소 부지가 여전히 텅 비어있는 현실이 이같은 분석을 뒷받침해준다는 설명이다.

첨단 대기업과 협력업체, 각종 R&D 및 교육기관과 고급인재를 필수요소로 하는 '테크노폴리스'와 '복합형 지방산업단지'는 그 개념이 근본적으로 다르다.

토공의 참여 여부로 현풍개발 방향에 대한 새로운 논점이 제기된 셈이다.

sukmin@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