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대륙의 파워는 과연 위압적이었다.
29일 지구촌이 경험한 '차이나 쇼크'는 중국경제의 위상을 재삼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
바로 이웃한 한국으로서는 더욱 다급해졌다.
급부상하는 중국의 경제력을 어떻게 평가할 것이며 앞으로 중국과의 교역, FTA(자유무역협정)등 산적한 경제현안을 어떤 방향으로 풀어나가야 할 것인지 근본적인 재검토를 서둘러야 할 것이다.
중국 원자바오 총리는 28일 인플레이션을 걱정하면서 "중국의 강력한 성장세에 제동을 걸 필요가 있다"며 긴축정책 의지를 밝혔다.
중국 정부는 곧 은행들의 신규대출 중단을 지시했다.
이 말 한마디에 세계경제는 요동을 쳤다.
미국 증시와 환율이 흔들리면서 종합주가지수는 26.42포인트나 급락, 900선이 허무하게 무너졌다.
특히 외국인들은 증시 사상 최대 규모인 7천733억원 어치의 주식을 팔아치웠다고 하니 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외국인 주식 지분을 갖고 있는 한국증시가 또 한번 해외 단기자금의 투기장이 되지 않을까 심히 우려된다.
물론 원 총리의 발언이 아니라도 세계경제는 고유가, 내수 침체, 이라크 전쟁 등으로 불안 요소가 상존해 있었다.
문제는 중국 경제의 '거품 붕괴'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점이다.
중국은 그동안 10% 이상의 성장 속에서도 위안화는 절상하지 않는 폐쇄성을 보여왔다.
그래서 마구잡이로 돈을 풀어 성장을 부추기는 '급성장'이 언제 버블로 끝날지 모른다는 우려가 늘 팽배해왔다.
그것이 현실로 다가왔다면 한국경제로서는 엄청난 충격이다.
중국은 지금 한국의 최대 교역국이다.
지난해 대중국 수출은 357억 달러로 전체 수출액의 18%를 차지했다.
미국을 앞질렀다.
그래도 지난해 그럭저럭 3.1%의 성장이라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이 순전히 수출 호조 덕분이라면 중국의 거품붕괴는 한국경제에는 치명타가 될 것이다.
이제 중국을 새로 봐야한다.
중국은 우리의 경쟁국이면서도 동반자이며, 아울러 우리에게 최대의 피해를 입힐 수 있는 '시한 폭탄'을 안고있는 나라라는 점을 잊어서는 안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