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고속철 지상화땐 대구에 7천억 투자"

姜 건교장관 밝혀

건설교통부가 경부고속철도 대구도심 통과방안을 '직선 지하화'에서 '지상화'로 변경할 경우 7천억원을 지역발전을 위해 투입하겠다고 밝혀 파장이 일고 있다.

강동석(姜東錫) 건교장관은 24일 정부종합청사에서 한나라당 임인배(林仁培) 의원을 만나 "대구시가 도심통과 방식으로 지상화를 희망하면 직선 지하화에 소요되는 사업비 1조8천400억원 중 절감되는 공사비 7천억원을 지역발전을 위해 투입하겠다"고 말했다.

이는 지금까지 건교부와 교통개발연구원의 '직선 지하화'안 공식지지 입장에서 한발 물러난 것인데다 지상화 쪽으로의 정부 내 정책기류 변화를 암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총 연장 29km인 직선지하화 노선(칠곡 지천~수성구 고모)은 1조8천473억원의 공사비가 소요될 것으로 추정되나 기존 경부선과 병행해 고속철도 신선을 지상에 건설할 경우 1조1천276억원이 들어 직선 지하화안에 비해 7천197억원의 공사비가 절감되며 공사기간도 7개월 가량 줄어드는 것으로 알려졌다.

강 장관은 또 "대구시가 시민들과 정치권의 의견을 수렴해 공식적으로 통과방식을 결정, 요청해 오면 그 건의를 전적으로 수용하겠다"는 점도 덧붙였다.

건교부는 그러나 직선지하화에서 지상화 쪽으로 정책을 수정하기 위해서는 그간의 각종 연구용역 결과를 백지화시켜야 한다는 점에서 고심을 거듭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지난해 4월 교통개발연구원의 연구용역 결과, 최적의 도심통과방안으로 직선 지하화 안이 1순위 대안으로 평가됐으며 상대적 경제성 평가에서도 직선 지하화안이 경제적으로 가장 유리한 대안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상화안(국철병행 지상노선안)은 개착식 지하BOX(3.2km)안에도 못 미치는 평가를 받았었다.

이에 대해 지역 정치권은 "17대 국회에서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강 장관이 정책기류 변화를 암시한 것에 주목한다"며 "다만 대구도심 통과방안에 관한 그간의 연구 결과를 도외시한 정치적 결정은 또다른 논란을 낳을 수 있는 만큼 철저히 검증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