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시내버스 파업 장기화 우려

첫날 노사, 협상도 안해...시민 비난 빗발

대구 시내버스 노조가 임금 인상과 준공영제 도

입 등을 요구하며 25일 파업에 돌입한 가운데 이날 오후 4시 현재 사태해결을 위한

노사 협상조차 재개되지 않고 있어 파업의 장기화가 우려되고 있다.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대구시내버스지부 등에 따르면 노조는 파업 돌입 16시

간만인 이날 오후 6시께 파업에 돌입한 지역 26개 버스회사 노조 지부장들과 모임을

갖고 향후 대응 방향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날 오전 4시를 기해 전면파업에 돌입한 노조측은 사용자측은 물론 대구시와의

대화도 중단한 상태다.

사용자 단체인 대구시버스운송사업조합은 오후 3시부터 26개 회사 대표들이 참

석하는 대표자 회의를 소집, 의견 조율에 들어갔다.

이 때문에 노사 양측의 상호 양보안 제시와 협상 재개 여부는 양측의 회의가 모

두 마무리된 뒤에나 알 수 있을 전망이어서 협상이 재개된다 하더라도 빨라야 이날

오후 밤 늦게나 노사가 협상 테이블에 다시 앉을 수 있을 전망이다.

대구시와 대구지방노동청은 노사 양측 대표자들의 회의 내용을 검토한 뒤 막후

조정을 통해 교섭을 촉구할 계획이다.

대구시는 또 오후 5시부터 시장실에서 대구지방검찰청 검사장, 대구지방경찰청

장, 대구지방노동청장 등이 참석하는 관계 기관장 회의를 갖고 비상대책을 논의키로

했다.

노조의 파업으로 대구지역 29개 시내버스 회사 소속 버스 1천719대 가운데 광남

자동차 등 3개사를 제외한 26개 회사의 버스 1천500여대의 운행이 전면 중단돼 지각

사태가 빚어지는 등 시민들이 이날 하루종일 큰 불편을 겪었다.

파업이 현실화되자 시민들은 노사 양측을 강력 비난했으며 대구 참여연대 등 지

역 3개 시민.사회단체는 성명을 내고 노조측의 파업 철회를 촉구했다.

시민단체들은 성명에서 "대구시버스운송사업조합은 파업을 막기 위한 어떠한 현

실적 노력도 없이 준공영제 실시와 임금동결 주장을 되풀이함으로써 파업을 방조했

으며, 노조는 아직 타당성 조사도 되지 않은 준공영제를 연내에 도입하라는 불합리

한 주장과 함께 임금인상분 지급능력이 없는 조합에 10% 인상안을 제시하는 등 무리

한 요구를 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노사 양측의 태도로 볼 때 이번 임단협은 파업을 회피하기 위한 것이 아

니라 파업으로 가기 위한 수순이라는 의혹을 지우기 어렵다"며 "노사는 시민을 볼모

로 부당한 파업을 중단하고 즉각 대화에 나서라"고 촉구했다.

이에 앞서 노조측은 지난 24일 오후 7시부터 경북지방노동위원회에서 열린 제3

차 조정회의에 참석, 사용자 단체인 대구시버스운송사업조합측과 3시간 가량 협상을

벌였으나 타협점을 찾지 못했다.

조정회의에서 노조측은 내년 7월부터 준공영제 도입을 전제로 한 기준임금 평균

10%인상을, 사업조합측은 대구시의 준공영제 도입 약속이 없는 한 동결을 주장하던

기존 입장을 고수, 노동위원회가 별도의 조정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조정 중지 결정

을 내렸다.

이후 노조는 시의원, 시민단체, 교수, 언론, 공무원 등 11명으로 구성된 '시내

버스 임단협중재 시민위원회'가 이날 오후 11시부터 대구시청 상황실에 마련한 3차

회의에도 불응, 밤사이 특별한 교섭은 진행되지 못했다.

한편 대구시내버스 노조는 지난 2001년 13시간 파업에 이어 지난해는 24시간 파

업을 벌인 바 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