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논술고사 대비 이렇게

수시모집에서 수험생들이 준비해야 할 것은 면접 구술고사와 논술고사 뿐이다.

학생부 성적을 비롯한 여타 전형요소는 대부분 결정돼 있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대학들은 학생부 성적으로 모집 정원의 일정 배수를 뽑은 뒤 심층면접이나 논술고사를 치르는데 비중이 적잖다.

수험생들로서는 어느 정도 대비가 필요한 부분이지만 단기간에 준비하기는 쉽지 않다.

현 시점에서의 대비 방법을 짚어본다.

◇출제 경향

면접 구술고사는 인성이나 가치관, 사회관, 인생관 등을 측정하는 기본소양 평가와 전공 과목 수학 능력이나 적성을 알아보려는 전공적성 평가로 나누어진다.

▲기본소양 평가

기본 소양 평가는 크게 수험생의 개인적 특성이나 인생관, 가치관을 묻는 유형과 사회.문화적 현상, 시사 문제 등 사회적 쟁점에 대한 견해를 묻는 유형 두 가지가 나온다.

자신의 장단점, 사회 봉사 활동 경험 등 개인 성향에 관한 질문들에는 구체적으로 답변하는 것이 좋다.

예컨대 봉사 활동에 대한 내용과 느낀 점을 물으면 자세한 활동 내용과 과정, 그리고 거기서 새롭게 발견하거나 깨달은 점, 교훈 등을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말해야 한다.

인성과 가치관을 평가하는 질문들에 적절히 대답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가치관과 세계관을 정립해 보는 노력을 평소에 해야 한다.

▲전공적성 평가

전공적성 평가는 지원하는 모집단위를 전공하는 데 필수적인 기초 지식과 전공 적성을 갖추었는지를 평가한다.

전공 관련 문제는 크게 지망 동기와 학업 계획, 희망 진로 등 전공의 열정과 적성을 묻는 유형과 전공과 관련된 고교 교과의 기본 개념과 원리, 그것이 실생활이나 사회 현상에 적용된 응용 사례를 묻는 유형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후자는 전공 학문의 특성이나 기본 개념과 원리, 전공과 관련된 일반적 쟁점에 관한 내용과 관련된 질문들이다.

여기에는 전공 분야에 대한 기본적인 교양을 측정하는 질문과 다소 전문적인 지식과 관심도를 측정하는 질문이 있다.

특히 어문 계열 학생은 전공 질문에 대비해 지망하는 학과에 해당하는 고전적인 문학 작품 한두 가지와 자신이 좋아하는 작가, 해당 국가의 문화적 배경에 대해 미리 정리를 해 두고, 원어로 1분 가량의 자기 소개 연습을 하는 것이 좋다.

◇대비 방법

▲지망 대학의 출제 경향을 파악하고 기출 문제를 점검하라.

지망 대학 홈페이지나 유명 입시 사이트에 출제 방향이나 지침, 면접 진행 방식, 기출 문제 등이 소개되어 있으므로 꼼꼼히 읽고 경향과 특징을 파악해 공부 방향과 범위, 방법 등 대책을 세워 둬야 한다.

이 때 면접의 유형, 단골로 나오는 질문, 영어 제시문 출제 여부, 자연계의 경우 수학과 과학 교과 지식의 측정 정도, 답변 준비 시간, 지망 대학의 건학 이념이나 교육 방침, 해당 학과의 교과 과정 등을 점검해야 한다.

▲전공과 관련된 교과서의 기본 개념과 원리를 정리하라.

고교 교과 과정 중 시사 쟁점이나 자신이 지원하는 학과와 관련된 부분을 기본 개념과 원리 중심으로 다시 한 번 정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인문계는 윤리.사회문화.정치.경제 등의 교과서 내용을, 자연계는 수학과 물리.생물.화학.지학 교과서 내용 중에서 시사 쟁점이나 자신의 전공 학문과 관련된 것을 정리해야 한다.

▲중요한 시사 쟁점을 정리하라.

영역별 시사 쟁점은 기본소양 평가와 전공적성 평가 문제에 모두 제재로 출제된다.

국민적 관심사가 됐던 시사 현안에 대한 자신의 관점과 견해를 윤리나 사회 문화, 정치, 역사 등의 고등학교 교과서 내용과 관련지어 정리해 두어야 한다.

신문이나 시사 주간지, 언론사 홈페이지나 유명 입시 사이트의 쟁점 모음, 인터넷이나 방송의 토론 프로그램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면 사회적 의제의 배경과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시사 문제의 경우는 구체적인 지식과 정보량보다는 자신의 관점과 입장을 어떻게 정리해서 답변하느냐가 더 중요하다.

▲말하기 훈련을 해야 한다.

출제 빈도가 높은 단골 문제와 예상 문제에 대한 예시 답안을 만들어보고 지원 대학의 면접 방식에 맞춰 구술해 보는 실전 연습이 필요하다.

이 과정에서 어색한 말투나 잘못된 언어 습관을 발견하여 고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감 있고 자연스러운 태도로 명확한 자기 관점과 견해를 상대방에게 조리 있게 차근차근 설명하고 설득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김재경기자 kjk@imaeil.com 도움말:송원학원 진학지도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