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건교부 고속철 대구통과 막바지서 입장선회

건설교통부가 경부고속철도 대구도심 통과 방안으로 '경부선 병행 지상화안'이 최선이라고 잠정 결론 내리고 4.15 총선 직전 국회 건교위원 등 각계를 상대로 홍보전을 펼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최근 강동석(姜東錫) 건교부장관이 정부종합청사에서 한나라당 임인배(林仁培) 의원과 만나 "'직선 지하화'에서 '지상화'로 변경할 경우 절감되는 예산 9천억원을 지역발전을 위해 투입하겠다"고 밝힌 것이 우연이 아니었던 셈으로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건교부 고속철도건설기획단 관계자들은 지난 3월 국회 건교위 소속 박승국(朴承國) 의원과 이강철(李康哲) 열린우리당 국민참여운동본부장 등 각계 인사를 만나 '대구도심 통과방안 중 지상화안 검토안'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안은 경북 칠곡군 지천면~대구시 상리동~동대구역(지상)~율하동까지 11km를 지상으로 통과하는 노선으로 대구도심을 복복선(4선)으로 통과하며 철도횡단시설 및 철도주변시설을 개량하는 것이 뼈대다.

즉 경부선을 따라 중앙 2선은 고속철도, 바깥 2선은 기존 철도가 통과하고, 총연장 14.6km에 걸쳐 완충녹지 10m와 측면도로 10m를 조성한다는 것. 이 경우 철도주변 기반시설 정비 사업비가 9천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계됐다. 측면도로와 완충녹지를 포함해 방음벽 21.8km, 철도횡단시설 11개소를 신설하거나 확장하는데 드는 예산이다.

건교부는 이처럼 대구도심 통과방식을 경부선 병행 지상화로 할 경우 공사기간은 직선지하화에 비해 7개월 정도 짧은 8년 정도가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

이처럼 건교부가 '직선지하화안' 공식지지 입장에서 지상화안으로 급선회한 것은 대전이 지상화로 결정난 데다 실제 고속철을 운행한 결과 지하통과의 경우 소음이 극심한 등 부작용이 커 대구도 지상화안을 수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강 장관도 이와 관련 "대구시가 시민들과 정치권의 의견을 수렴해 공식적으로 통과방식을 결정해 요청해 오면 그 건의를 전적으로 수용하겠다"면서 대구시에 공을 넘겼다.

그러나 지난해 4월 교통개발연구원의 연구용역 결과 최적의 도심통과방안으로 직선 지하화안을 제시하면서 지상화안에 최저점을 줬고, 지역민의 정서나 정치권도 지상화안에 대체로 반대하고 있어 최종 결론 도출까지 상당한 진통이 따를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건교부는 대구시의회의 요청으로 다음달 3일 대구에서 대구도심 통과방안에 대한 설명회를 가질 예정인데 지상화안을 적극 홍보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재왕기자 jwchoi@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