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럼요, 해드리고 말고요. Sure, I'd be glad to.
영어란 결코 어려운 것이 아니다.
말이란 상대가 있어야 한다.
그래서 상대와 호흡이 맞을 때 그 대화는 즐겁고 살아 있으며 대화 그 자체로도 얼마든지 즐거울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감정이 실려 있어야 한다.
일상 생활에서 입에 달고 다니는 말은 외워야 한다.
"Sure, I'd be glad to."도 그 중의 하나다.
무슨 요청이나 부탁을 받았을 때, 흔쾌히 허락하면서 "그럼요, 해드리고 말고요."라고 할 때에는 "Sure, I'd be glad to."(슈어/앗비 글랫투)라고 하면 된다.
sure의 su는 높고 짧으며, re는 낮고 길어서 대조를 이룬다.
그래서 '솔미미도'가 되는 것이다.
I'd은 '앗'이 되는데, 왜냐하면 모음 다음의 d는 'ㄷ' 혹은 'ㅅ' 밑바침 발음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슈어/앗비 글랫투'가 되는 것이다.
쾌히 승락하는 경쾌함이 있어야 한다.
말을 잘 한다는 것은 자연스럽고 감정이 실려 상대방을 감동시킬 수 있어야 한다.
"지난 회 정답 : Can I persuade you to have piece of cake?"
▲퀴즈 : 그만 일어서야겠어요.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