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독립을 쟁취한 도시. 종교, 성별, 인종, 성적 취향에 관계없이 누구나 평등하다는 아메리카의 정신이 깃든 도시, 필라델피아.
영화 '필라델피아'는 '형제애'의 도시에서 일어난 한 동성애자의 절절한 실존적 투쟁을 묘사하고 있다.
필라델피아의 이름난 법률사무소에서 일하는 엔드류는 촉망받는 변호사다.
불행히도 그는 에이즈로 투병 중이었다.
마지막 순간까지 삶에 대한 성실과 열정으로 최선을 다한다.
점차 병세는 짙어져 얼굴에 반점이 생기고 고열에 시달리자, 회사는 그의 병을 눈치 챈다.
법률사무소 대표는 말썽없이 엔드류를 제거하기 위한 계략을 꾸민다.
심혈을 기울여 작성한 엔드류의 고소장이 어느 날 밤 영문모르게 사라진다.
회사는 엔드류에게 책임을 돌려 무능하다며 몰아세우고 해고시킨다.
인간이란 믿지 못할 존재임을 뼈저리게 느낀 엔드류는 명예와 권리를 되찾기 위해, 회사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다.
완벽한 책임감으로 일해 온 자신을 불명예스럽게 해고시킨 회사를 용서할 수 없었다.
또한 동성애자란 이유로 해고시킨 것은 평등 원칙에 어긋나는 명백한 불법이었다.
엔드류는 자신을 변론해줄 변호사를 찾지만, 에이즈 환자라는 이유로 모두 거절한다.
마지막으로 자신의 경쟁자였던 변호사 조를 찾아간다.
조는 동성애자에 대한 반감은 있지만, 엔드류가 당한 일은 위법이라는 신념으로 변호할 결심을 한다.
과거에는 동성애자를 변태적인 욕구를 지닌 성도착증이나, 도덕적으로 타락한 사람으로 치부했다.
그러나 1973년에 미국정신의학회는 동성애를 정신과적 진단 범주에서 삭제했다.
동성애가 개인적 섹슈얼러티의 어떤 특성이나 자질로 여겨지면서, 게이나 레즈비언이라는 말은 성적 지남력(指南力.자신이 처한 상황을 시간, 공간적으로 바르게 파악해 이것과 관련된 사람이나 대상을 똑바로 인지하는 능력)과 성적인 행동을 이르는 말로서, 다양성, 개방성, 정당성 등의 의미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동성애의 원인을 설명하는 정신분석적인 가설로는 남자의 경우 어머니에 대한 과도한 애착, 효율적인 아버지 역할의 부재, 남성성 발달의 억제, 자아도취적 단계의 고착 혹은 퇴행, 형제와 자매와의 경쟁에서 패배 등이 있다.
여성의 경우는 해결되지 못한 오이디푸스 갈등과 남근 선망이 해소되지 않았을 때 생긴다고 한다.
최근에는 성적 지남력 결정에 유전적인, 생물학적 요인의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남자 동성애자는 남성 호르몬인 안드로겐 수치가 낮고, 일란성 쌍둥이에서 동성애 일치율이 더 높다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한다.
또한 성의 방향을 결정짓는다고 알려진 대뇌의 시상하부의 특수핵이 동성애적 남자가 2배 가량 더 크다.
그럼 동성애자에게는 어떤 정신 병리가 있을까? 일반인과 거의 비슷하나, 자살률이 더 높다고 한다.
동성애자가 사회 가치관과 겪는 갈등이 심해질 경우, 적응장애나 우울장애로 빠질 수 있다.
동성애자의 우울증은 죄책감, 자기 혐오감 등의 증상을 주로 보인다.
엔드류는 생명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느끼면서 법정 투쟁을 계속 한다.
그의 실존적 투쟁은 구름 뒤에 가려진 햇빛이 강렬하게 빛나듯, 결국 승소한다.
일반적으로 감정에 기인한 편견보다는, 명백한 논리에 근거한 편견이 오히려 더 위협적이고, 고질적인 것 같다.
김성미(마음과마음정신과 원장)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