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성 주석의 10주기 조문 문제로 일부 민간
단체의 방북과 당국간 회담이 연기되는 등 남북관계가 일부 차질을 빚고 있는 가운
데 제10차 이산가족 상봉행사는 11일 오후 단체상봉을 시작으로 예정대로 진행됐다.
남측 이산가족 상봉단 471명은 50여년간 헤어졌던 북측의 가족 100여명을 만나
반세기가 넘은 이산의 한을 달랬다.
올해 95세로 남측 상봉단 중 최고령인 노복금 할머니는 큰 아들 림승호(73)씨를
만나, 어릴 적 사고로 잃은 엄지 손가락을 어루만지며 잃어버린 세월을 회상했다.
승호씨가 주위를 두리번거리며 "아버지는 어디 가셨어. 안 계셔"라고 묻자 누나
채옥(75)씨는 "아버지가 왜 안 계셔. 못 오셨지"라고 대답했다.
림씨의 아버지 임복구(97)씨는 아들의 생존소식을 전해듣고 흥분하는 바람에 건
강이 나빠져 이번 상봉에 참가하지 못했다.
노복금 할머니와 동갑인 남측의 주애기 할머니는 헤어질 당시 서울 중학교 5학
년에 다니던 소년에서 백발의 노인이 된 아들 리강백(71)씨를 만나 얼굴을 어루만지
며 눈물만 흘렸다.
청와대 문재인 시민사회수석은 북한 흥남이 고향인 어머니 강한옥(77)씨와 함께
생면부지의 막내 이모 강병옥(55)씨를 만나 눈길을 끌었다.
문 수석의 어머니 강씨는 흥남에서 거제도로 피난가며 헤어진 막내 동생 병옥씨
에게 전쟁 통에 헤어진 나머지 형제들의 안부를 물으며 잃어버린 시간을 확인했다.
문 수석은 "어머님이 가족들이 모두 돌아가시기 전에 이렇게 이모를 만나 염원
의 1만 분의 1이라도 풀어서 기쁘다"고 말했다.
또 이번 상봉단에는 6공화국과 문민정부 당시 각각 청와대 의전수석과 안기부
해외담당 차장을 지낸 이병기(58)씨가 포함된 사실이 뒤늦게 밝혀져 관심을 모았다.
이씨는 6.25 전쟁 당시 북으로 간 고모 리순덕(71)씨를 만났다. 순덕씨는 전쟁
당시 경기여고 3학년으로 서울대병원에서 인민군 부상자 치료를 돕다가 북으로 올라
간 것으로 확인됐으며, 북한에서 김일성종합대학을 최우등으로 졸업하고 김형직사범
대학 당역사 강좌장을 지냈고 현재 인민대학습당 연구사로 근무하고 있다.
이씨는 순덕씨 큰 오빠의 아들로 이번 상봉단에 부인 심재령씨, 남한에 사는 큰
고모 이희갑(79)씨, 희갑씨의 아들과 손자 등과 함께 참가했다.
인기 탤런트 김무생씨는 이날 어머니 형제 중 유일하게 생존해 있는 북쪽의 외
삼촌 장경수(79)씨를 만나 생전 어머니의 모습을 전했다. 김씨는 "외삼촌이지만 꼭
어머니를 뵙는 것 같다"며 외삼촌을 얼싸 안았다.
또 단체 상봉장에서 50여년만에 북측의 딸 리병희(70)씨를 만난 남측의 어머니
문옥진(84)씨는 "죽은 줄 알고 제사까지 지냈는데 살아있다니 그저 기쁠 뿐"이라며
딸의 손을 잡고는 놓을 줄을 몰랐다.
남측 상봉단은 이날 오후 4시부터 두 시간 동안 온정각에서 단체상봉을 가진 데
이어 1시간 휴식한 뒤 오후 7시부터 같은 장소에서 환영만찬을 가졌다.
남북 이산가족은 12일 오전 금강산의 김정숙휴양소에서 개별상봉, 온정각에서
공동중식에 이어 오후에는 삼일포 공동관광 등의 일정으로 혈육의 정을 나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