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버스료 침묵 속타는 업계

'노사 뒷거래' 여론 악화..."운영난 개선 하루가 급한데"

대구 시내버스의 요금 인상이 버스 노사의 금품 수수 사건 여파로 인상 시점을 잡지 못하고 표류하고 있다.

버스비 부담이 커지는 일을 조금이나마 미룰 수 있어 서민들은 반갑지만 적자를 하소연하는 버스업체들로서는 애가 탈 수밖에 없다.

대구시는 버스업계의 심각한 경영난을 고려, 오는 10월에 시내버스 요금을 인상한다는 당초의 방침을 바꿔 7월 조기 인상을 검토하다가 장기 파업으로 시민들의 여론이 악화되면서 인상 시기를 한달 후인 8월로 늦췄다.

그러나 최근들어 버스노사의 금품 수수 사건이 터지면서 시민들의 여론이 더욱 악화돼 이마저도 어렵게 된 것.

게다가 대전.광주의 경우 7월에 요금을 인상한다고 발표했으면서도 시의회가 '대도시 중에서 가장 먼저 인상하면 시민 정서가 좋지않다'며 제동을 걸어 인상이 무기 연기되는 등 다른 대도시들도 서로 눈치를 보며 인상 시기를 미뤄 대구시로서는 언제 버스요금을 인상할지 예측하기조차 쉽지않은 상황이 됐다.

또 버스파업 이후 쏟아지던 시민들의 항의가 이제는 숙지는가 했는데 버스노사의 금품 수수 사건이 밝혀지면서 또다시 항의가 잇따르고 요금을 인상하지 말라는 전화도 대구시로 연이어 걸려와 대구시를 더욱 곤혹스럽게 하고 있다.

박창대 대구시 대중교통과장은 "파업을 하루 이틀만에 끝낸 다른 도시도 요금 인상을 하지 않는데 8일간이나 파업을 한 대구가 어떻게 요금을 먼저 올릴 수 있고, 또 시민들을 이해시킬 수 있겠느냐"며 "언제 인상할지 가늠조차 할수 없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대구시내버스조합 관계자는 "업체들의 경영난이 워낙 심각해 버스요금의 조기 인상과 재정지원금 지원을 기대했는데 아직 아무 것도 이뤄지지 않고 있어 임금도 제때 지급하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하소연했다.

이호준기자 hoper@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