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지하철 파업 장기화 가능성

대구지하철 파업이 22일로 이틀째를 맞고 있으

나 노사간 교섭이 전혀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어 자칫 장기화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

를 낳고 있다.

노사는 파업 첫날인 21일 밤에도 한 차례 만나 4시간여 동안 실무교섭을 벌였

으나 별다른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대구지하철 노사간 쟁점은 근로 조건, 임금 인상, 2호선 개통에 따른 조직개편

안, 노조원 징계 철회 등 네 가지로 대별해 볼 수 있다.

근로 조건과 관련해서는 노조측이 온전한 주 5일 근무제 보장과 이에 따른 480

여명의 인력 증원을 요구하고 있는 반면 사측은 인력 증원 없이 주 40시간을 기준으

로 3개월 단위의 탄력근무제를 도입할 것을 제안하고 있는 등 세부 사항마다 적잖은

이견을 보이고 있다.

임금 문제 또한 노조측이 당초 총액대비 8.23%에서 후퇴한 5.4% 인상을 요구하

고 있으나 사측은 행자부 지침에 따라 총액 대비 3% 이내 인상 입장을 고수하고 있

다.

그러나 대구지하철 노사의 경우 근로시간과 임금문제보다는 조직개편안, 노조

원 징계 철회 문제 등을 둘러싸고 첨예하게 맞서고 있다.

공사측은 내년 9월 2호선 개통을 앞두고 인력 증원을 최소화, 현재 1호선 정원

(1천397명)에서 533명이 증원된 1천930명으로 1. 2호선을 통합 운영한다는 것을 골

자로 한 조직개편안을 마련해 최근 대구시의 승인을 받았다.

이에 대해 노조측은 조직개편안이 시민의 안전과 지방공기업의 사회적 역할을

저버린 것이라며 적정 인원 확보를 주장하는 동시에 노사 교섭 안건으로 삼을 것을

요구하고 있으나 공사측은 경영권에 속하는 사항이라며 일축하고 있다.

이 밖에도 지난해 6월 파업을 주도한 노조 간부 4명에 대한 직위해제 조치, 지

난달 이사회 개최를 방해한 노조원들에 대한 경찰 고소 등과 관련해서도 노조측은

노조 탄압이라며 교섭 안건으로 삼으려는 데 반해 사측은 "사규에 따른 것일 뿐"이

라며 교섭 대상이 될 수 없다는 기존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대구지하철 노사는 지난달 8일 이후 지금까지 13차례에 걸친 실무 및 본교섭에

서도 이 문제를 놓고 설전을 벌였으나 합의를 이끌어내지 못했기 때문에 향후 전망

이 극히 불투명한 상태다.

더구나 이번 파업이 서울과 부산, 인천 등 궤도연맹 차원의 동맹 파업인 데다

대구지하철 노조의 경우 합법 파업이기 때문에 수월한 협상 타결과 그에 따른 독자

적인 파업 철회는 사실상 쉽지 않을 것으로 보여 파업이 상당기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가고 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