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변 모래톱에 어지럽게 흩어진 새발자국을 따라가다가 물가에서 방금 날아간 듯한 선명하고도
깊은 마지막 발자국을 보았습니다.
더 높이 더 멀리 날아가기 위하여 달려간 生의 도움닫기 끝에 찍힌
지상의 그 웅숭깊은 마지막 족적 속에서 광대무변의,
그 먼나라에서 흘리는 당신 눈물이 말갛게 차오르고 있었습니다.
이덕규 '오, 새여'
흩어진 새 발자국이라는 사실, 생의 도움닫기라는 사실에 대한 아름다운 해석, 말갛게 차오르는 눈물이라는 족적으로부터 유발된 상상 등의 세 국면으로 짜여진 '오, 새여'는 제목의 어감처럼 유장하다.
삶과 죽음, 그 광대무변한 비감(悲感)의 살과 피로 짜여진 문장을 들여다 보라. '마지막'이란 말이 두 군데 새 발자국처럼 찍혀있다.
황혼이 그러하듯, 황혼 녘 사랑이 그와 같듯 마지막은 가열하다.
마지막의 가열함이 지상의 삶을 웅숭깊게 하고 먼 나라에서 흘리는 당신 눈물을 웅숭깊은 족적 속에 말갛게 차 오르게 한다.
강현국(시인.대구교대 교수)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