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집안 살림 갈수록 '속골병'

"97년 외환위기 때보다 경제가 더 어렵다"는 푸념이 통계에 의해 사실로 확인되고 있다.

서민들이야 오래 전부터 피부로 느끼고 있었지만 정부의 '곧 나아질 것'이라는 낙관론에 그나마 한 가닥 희망을 걸어왔다.

마침내 사라지는 기대감, 북받치는 허탈감, 이것이 우리 경제의 현주소다.

한 민간 경제연구소에 따르면 '가계부실지수'가 올 1/4분기에는 127.9로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의 123.5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란 이후 5%대 이상 꾸준히 경제성장을 해왔는데도 이처럼 가계가 부실해 진 것은 선뜻 이해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내부를 들여다보면 그동안 얼마나 '속골병' 들었는지를 알 수 있다.

우선 3월 말 현재 가계 금융부채 잔액이 535조원으로 당시 대비 2배 가량 증가했다.

연간 이자 부담액이 33조원에 이르다보니 도시근로자의 경우 빚을 갚는 데만 소득의 4분의 1 이상을 쓰고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다 최근 실업률이 높아지면서 고용시장은 얼어붙었고 물가마저 4%대로 치솟아 가계부담은 가중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렇게 되면 IMF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했다고 자랑한 것도 결국 '빚더미'위에 쌓은 모래성이 아니던가. 더 큰 문제는 미래가 이렇게 불확실하니 가계가 앞으로 소비지출을 더 억제할 것이라는 점이다.

한국 경제의 두 축이 수출과 내수인데 이런 상태로는 소비 진작은 더 이상 기대하기 힘들게 됐다.

물론 부실한 가계구조를 하루아침에 개선시킬 수는 없다.

그러나 소비가 죽어서는 안 된다.

소비는 앞날에 대한 희망에서부터 나온다.

내가 곧 취업될 것이고, 안정된 물가 속에서 소득 2만 달러 계획이 착실히 진행되고 있고, 노후가 보장된다면 누가 소비를 않겠는가. 그것이 바로 정부가 할 일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