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청와대-열린우리 아직 삐걱

현안 조율을 둘러싸고 여권의 분위기가 심상찮다.

청와대는 열린우리당의 현안과 정국대응에 마뜩지 않아하는 표정이 역력하고, 열린우리당은 소외감과 불만이 깊어지고 있다.

당청협의회 등 '공식적 채널'은 마련돼 있지만, 의례적 협의나 조율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지난달 말 당시 당측이 "정국에 대한 대응은 당에서 할테니 대통령은 경제문제에 몰두했으면 한다"고 건의하자 청와대측은 "대통령 일정의 80%가 경제"라고 곧바로 반박했다.

노무현(盧武鉉) 대통령과 당지도부 사이의 직접 채널도 예전같지 않은 분위기다.

신기남(辛基南) 의장은 최근 '정동영 전 의장은 노대통령과 거의 매일 통화했다더라'는 말에 "정말 그랬느냐"고 놀라워했다.

자신은 그렇지 않다는 뜻을 간접적으로 피력한 것이다.

이에 대해 한 중진의원은 "대통령에게 직접 당의 뜻을 전할 수 있는 길이 없다"고 하소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불협화음의 원인은 '김혁규 전 경남지사 총리 지명' 파동때 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김 전 지사의 총리 지명 논란 당시 당의 '미숙한 대응'에 쌓인 청와대의 불만은 6월5일 "청와대 운영에 관해 불필요한 논란이나 간섭을 최대한 자제해달라"는 언급으로 표출됐다.

이후 당과의 채널도 당청협의회 등 공식 라인으로 국한됐다.

물론 '시스템에 의한 대응'이라는 참여정부의 철학과도 상통한 방식일 수 있지만, 현안에 대한 여권의 혼선 등이 부각되면서 당의 불만이 커지고 있는 형국이다.

불만은 특정 계파에서만 나오는 게 아니다.

한 386세대 의원은 12일 "아파트 분양원가 공개만 해도 당이 잔뜩 폼잡고 있는데 대통령이 싹둑 자르는 바람에 당이 그 욕을 다 먹었다"며 "청와대가 당에 군림하려는 듯하다"고 비판했다.박상전기자 mikypark@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