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孔子)는 '가어(家語)'를 통해 "어린 시절의 모습이 성장한 뒤에도 그대로 나온다"고 가르쳤다.
매를 들고 반듯한 심성을 지닌 자녀로 키우는 것을 '현부형'이라고 본 게 유교(儒敎) 사회의 부모관이라 할 수 있다.
선각자적 사상을 가졌던 조선 시대의 성호(星湖)도 부모가 자녀를 귀여워한 나머지 매를 제대로 대지 않는 걸 바람직하지 않다고 여겼다.
'아이가 예쁘면 매를 대고, 보기 싫으면 밥을 먹이라'는 속담 역시 부모의 매가 자녀를 올바르게 키우는데 필요하다고 믿는 데서 나온 말이다.
▲하지만 부모의 매에는 언제나 사랑이 깃들여져야 한다.
요즘 폭력 같은 '과잉 매'가 일부 부모들 사이에 자행되고 있는 건 큰 문제다.
심지어 어린이를 무차별 난타하는 일이 비일비재일 정도라니 기가 찬다.
어린이들이 생존을 위해 어른에게 복종할 수밖에 없다는 상황을 악용해 짓밟는 아동 학대는 반인륜적(反人倫的) 범죄가 아닐 수 없다.
▲보건복지부는 올해 상반기 동안 아동학대예방센터에 접수된 아동 학대 신고 건수는 3천255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4% 가량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부모 등 어른들로부터 학대받는 어린이 가운데 3분의 1 정도가 거의 매일 신체.정신적 고통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제난으로 학교.병원 등에 보내지 않는 '방임형' 학대가 크게 늘어났다.
▲학대 유형별로는 신체.정서적 학대 등 두 가지 이상의 '중복 학대'가 38.2%로 가장 많고, 경제난 등 생계 곤란으로 학교나 병원 등에 보내지 않는 '방임형'은 34.3%로 지난해보다 100여건이 늘어나 이들에 대한 보호가 시급한 것으로 분석됐다.
학대의 가정 중 이혼.가출.별거 등에 따른 편부 가정이 33.2%로 가장 많고, 일반 가정, 편모 가정, 재혼 가정이 그 뒤를 잇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얼마 전 한 민간단체가 아동 학대의 심각성을 알리는 '파란 리본 달기 캠페인'을 시작했다.
오죽하면 이런 운동까지 일어나랴. 아동 학대는 그들의 마음과 인격 형성에 큰 상처를 입혀 밝고 건강하게 성장할 수 없게 한다는 사실은 두말할 나위조차 없다.
아동 학대는 사회적 범죄로 '우리 모두의 일'이라는 인식이 무엇보다 선행돼야 한다.
어린이가 학대받는 사회의 앞날은 어두울 수밖에 없지 않겠는가.이태수 논설실장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