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중국.일본의 침략을 경계하라

일본과 중국이 우리와 국가 충돌의 난기류를 조성하고 있어 경각심을 늦출 수 없는 상황이다.

지난 몇 년간 우경화로 치달아온 일본은 최근 한국과의 분쟁 사안에서 대립각을 노골화하고 있다.

중국 역시 패권주의적 국가노선을 드러내고 있다.

대응을 소홀히 할 경우 일본과 중국의 안팎 곱사등이 될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일본은 올 들어 미국과의 확고한 동맹관계를 바탕으로 군사대국의 포석을 깔아왔다.

이는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참배 정례화, 도쿄도(都)의 한일 역사 왜곡 교과서 채택과 맞물려 국수주의의 시동으로 비쳐지고 있다.

독도 영유권 관련 예산의 증액, 동해의 일본해 단독 표기화 작업도 심상치 않은 움직임이다.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 추진도 우리로서는 달가울 수 없는 일이다.

중국의 패권적 움직임도 큰 위협 요인이 되고 있다.

중국은 고구려사 왜곡과 관련해 반(反)동반자적 태도를 사과하기는커녕 만주에 대한 연고권 포기를 문서로 요구하는 적반하장을 보였다.

5개항의 무성의한 합의로 우리를 무마하고, 뒤로는 기만극을 벌인 기막힌 일도 밝혀졌다.

교과서에 왜곡역사를 싣지 않겠다고 약속했으나 이미 다수 교과서가 왜곡역사로 채워진 뒤의 일이었기 때문이다.

일본과 중국의 침략 행위에 대해 정치권과 정부는 어떤 일을 하고 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나라의 운명을 뒤바꿀지도 모를 외환(外患) 상황을 제대로 인식이나 하고 있는 것인가. 대통령은 친일 청산, 좌익독립운동가 포상 같은 한가하고 아득한 국가 내부 화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정치권은 지엽말단의 국보법 개폐, 의문사 진상 조사 같은 문제로 세월을 허송한 게 고작이다.

지도층의 현실인식이 이래서는 국민들만 불쌍해질 뿐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