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자노트-방폐장 정말 안되는가

지난 15일 논란 끝에 정부가 추진 중인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 입지선정이 무산됐다. 3천억원의 지원금과 연계추진 사업인 양성자 가속기 건설 등 정부가 제시한 프리미엄보다 '내 동네는 안된다'는 인식이 전(全) 지자체의 공통된 인식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방폐장의 안전문제를 두고 다시 한 번 생각해 보자. 지금도 방폐장을 담당하는 한국수력원자력(주)과 전북 부안의 방폐장 반대 진영은 안전성 여부를 놓고 왈가왈부하고 있다. 한수원 측은 방폐장 인근의 방사능 오염 확산도는 깨끗한 자연환경과 다를 바 없다고 하지만 반대 측은 주변환경이 황폐화된다는 상반된 주장으로 맞서고 있다.

하지만 반대론자들의 주장처럼 핵폐기장 인근 지역은 풀 한포기 나지 않고 초토화된다면 우리나라 최대 원전지역인 울진은 이미 사막화가 돼 있어야 하지 않을까. '반대론자들의 주장은 비약적'이라는 얘기도 이래서 나온다.

울진은 사막화되기는커녕 지금도 대게가 대량으로 잡혀 영덕으로 집하돼 '울진대게'인지 '영덕대게'인지 소비자들의 입을 즐겁게 하고 있다.

방폐장 유치에 따른 부수효과도 검토 요소다. 공식적인 지원 조건 외에도 민원처리시 우선권 보장과 관광도시화 계획 등 각종 지원책은 경제난에 허덕이고 있는 대구.경북이 재검토해 볼 만한 가치가 있어 보이기 때문이다.

산자부장관을 지낸 한 국회의원은 핵폐기장을 건설하는 지역에 골프장, 숙박시설 등을 갖춘 리조트 건설 계획을 추진했다고 한다. 관광도시화시킨다는 내부계획까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논란의 여지없이 핵폐기장 처리 시설의 필요성에 대한 여론은 이미 예전에 모아졌다. 고리.영광.울진.월성 등 발전소 내 저장용량은 오는 2018년이면 포화상태고 이 중 발전소 내 쓰레기 등 중저준위폐기물은 이르면 2008년에는 저장공간이 사라진다. 저장 공간은 시급한데 전국 어디서도 저장 공간을 제공하지 못하겠다는 식이다.

존 F 케네디 대통령이 자신의 취임연설에서 미국민의 의식변화를 촉구하며 '여기가 아니면 어디며, 지금이 아니면 언제고, 내가 아니면 누가 할 것인지 생각해 달라'고 말한 대목을 지역민들도 한 번쯤 곱씹어 봤으면 하는 바람이다.

mikypark@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