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안동대 민속학연구소 '고려 공민왕과 임시수도 안동' 발간

고려 공민왕의 안동 몽진이 지역사회에 끼친 영향 등을 학술적으로 조사, 분석한 '고려 공민왕과 임시수도 안동'이라는 책자가 최근 발간됐다.

안동시의 연구용역을 받아 안동대 민속학연구소가 펴낸 이 책은 공민왕 당시 임시수도로서의 안동의 진면목을 찾고 후삼국 통일에 결정적인 기여를 한 안동사람들과 고려왕실의 우호적 관계, 조선으로 이어진 문화적 전통 등을 조명했다.

안동대 국학부 배영동 교수 등이 집필한 총 455쪽 분량의 이 책은 '공민왕이 안동의 역사와 문화에 미친 영향' '공민왕의 반원개혁과 안동 몽진의 추이' '청량산 일대 공민왕 신앙의 분포와 성격' '공민왕 몽진 관련 민속놀이의 문화적 가치와 역사적 의식' 등 모두 7장으로 구성됐다.

특히 이 책자에는 공민왕이 북방의 홍건적의 침입으로 안동으로 몽진해 약 70일 간 머무르면서 지역민들의 환영과 적극적인 지원 속에서 홍건적을 물리칠 계획을 세우고 국정 운영을 하는 등 안동이 임시수도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한 내용이 상세히 실려 있다.

또한 환도 후 안동사람들의 후원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복주(당시 안동의 이름)를 안동대도호부로 승격시키고 '안동웅부(安東雄府)'와 '영호루(映湖樓)' 현판을 하사하고 봉정사 등 각종 사찰 중건과 학가산성, 왕모산성 등 지역 산성을 중수한 내용도 설명돼 있다.

조향래기자 swordjo@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