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민참여 경선제'퇴출

지난 2002년 대선을 앞두고 여·야 정치권이 공직후보자 선출 방식으로 도입했던 '국민참여 경선제'가 내년 4월을 기점으로 완전 사라질 전망이다.

이에 따라 여·야 각 정당은 진성당원(기간당원)만으로 이뤄진 선거인단으로 후보자를 뽑는 상향식 경선제나 면접·여론조사 등 방식으로 대체할 태세로, 현재 진성당원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국민참여 경선제는 2002년 초 민주당 대선 후보 선출과정에 첫 도입된 뒤 한나라당 대선 후보, 2004년 여·야 총선후보 선출과정에 잇따라 도입돼 국민적 관심사로 떠올랐다.

그러나 정치권은 공직후보자 선출권한을 당원과 비당원에게 동등하게 부여하는 것은 형평성에 맞지 않는다는 판단에 따라 최근 각 정당별로 당헌·당규를 고쳐 새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열린우리당의 경우 전국 정당원을 진성당원과 일반당원으로 구분, 3개월 이상 당비를 납부하고 정당의 공식 행사에 참석한 진성당원에 대해 당 중앙위원 및 공직후보 선출권을 부여키로 하고 당체제 정비에 들어갔다.

이를 통해 내년 3월 시·도당 전당대회와 중앙 전당대회를 잇따라 열고 이같은 방식으로 당 중앙위원 및 의장을 새로 뽑을 계획이다.

특히 내년 4월 전국 기초단체장 및 국회의원 재보선에서는 국민참여 경선을 완전 배제하고, 진성당원에 의한 상향식 경선제를 도입할 방침이다

한나라당도 전국 각 시도당별로 진성당원을 최대한 확보한 뒤 일반당원에 비해 더 많은 권한을 부여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또 내년 4월 재보선부터 국민참여경선을 배제하고, 공천심사위원회를 꾸린 뒤 당원에 의한 상향식 경선, 여론조사, 면접 등 후보자 선출방식을 결정할 방침이다.

민주노동당은 지난 2000년 1월 창당 이후 지속적으로 진성당원들로만 당을 운영해왔으며, 후보자 선출방식도 당원 직선제를 유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 국민적으로 선거열기를 모았던 국민참여 경선제는 3년 만에 막을 내리게 됐다.

김병구기자kbg@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