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광(崔洸) 면직을 개인의 문제로 보면 논할 가치조차 없다. 김원기 국회의장이 요청하고 열린우리당이 단독으로 동의해 준 그의 면직 처분이 예산정책처장이라는 '국회기구'에 대한 정치적 제재라면 이건 문제가 심각한 것이다. 그가 한 세미나에서 현 정부의 경제 정책을 "반(反)시장적"이라고 비판한 것과 "예산정책처가 수도 이전 비용을 부풀려 계산서를 내놨다"는 여권의 색안경 때문에 괘씸죄에 걸려 있었음은 공지의 사실이다. 결국 예산정책처의 독립성을 국회가 스스로 훼손한 것은 씻을 수 없는 잘못이 될 것이다.
16대 국회 말기에 국회가 이구동성으로 뜻을 모아 국회안에 예산정책처를 설치한 그 정신과 기능은 바로 '방만한 예산 편성'에 따른 행정부의 독주를 국회가 견제코자 함에서였다. '예산 뻥튀기'가 습관성 고질병이 된 행정각부에 대해 기획예산처와 감사원이 그렇게도 브레이크를 걸었음에도 마이동풍, 철밥통들의 국회 경시 풍조는 최 처장의 목을 자른 지금도 진행형인데 이 무슨 제살깎기란 말인가?
본란은 이미 작년 6월에 '국회 못 지킬 법'제도에 신중하라'는 사설을 통해 "예산정책처에 대한 정치적 중립성과 전문성이 100% 담보되지 않고서는 실패하기 십상이며, 책임자의 임기 보장도 없이 인력충원을 나눠먹기해 버리면 그건 또 다른 철밥통의 양산, 국민 세금의 낭비"임을 경고한 바 있다. 이것이 현실로 나타난 게 안타깝다.
이 반갑잖은 파동 앞에서 본란은 국회 예산정책처장의 '임기제'를 제기하지 않을 수 없다. 처신이 맘에 안 든다고 신설 조직의 초대 책임자를 홧김에 분풀이 하듯 쥐고 흔들면 박수치는 쪽은 행정부뿐일 것이다. 더구나 퇴임 기자회견까지 못 하게 막다니 참으로 졸렬했다. 예산정책처가 결국엔 '집권당과 행정부의 시녀'로 전락할까 두렵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