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수능부정 제보 20여건 수사결과와 일치

"과목당 3명이 한조,후배들에 답안 전송"

광주시교육청이 수능 10여일 전인 지난 6일부터 매일 인터넷 홈페이지에 올라온 수능 부정행위에 대한 수험생들의 절박한 경고와 제보 내용 등 20여건을 '허위사실 유포'라며 모두 삭제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삭제된 글에는 이번 수능부정을 주도한 것으로 밝혀진 C고교 학생의 제보, 전국 규모의 커닝조직, 대리시험 가능성 등이 포함돼 있었고 제보 내용이 경찰의 수사 결과와 거의 일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광주시교육청이 제보 내용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했다면, 이번 수능 부정 사건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24일 광주시교육청에 따르면 지난 6일부터 수능 다음날인 18일까지 모두 20여건의 수능부정 관련 제보 등을 삭제했으며, 이같은 제보 글 삭제는 중등교육과에서 교육과정정보화과에 공문을 통해 공식 요청한 것으로 드러났다.

최초 수능부정을 제보한 글은 지난 6일 이번에 수능부정을 주도한 것으로 드러난 C고교의 3학년생이 올렸고, 이어 다른 학생들도 이번 경찰의 수사 결과에서 나타난 수법과 일치하는 내용을 담은 글을 잇따라 올렸다.

처음 글을 올린 학생은 "부정을 계획한 학생들이 우리 학교에만 해도 30여명이나 된다"면서 "과목당 3명이 한 조를 이뤄 각 영역의 문제를 풀고 후배들에게 전송해 준다"고 제보했다.

이어 "지난해에도 이런 방식으로 커닝을 한 학생이 적발됐는데 그냥 넘어갔고 실제로 서울 소재 상위권 대학에 진학한 사람이 여러명 된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학생의 글에는 '선수'가 휴대전화 두드려 '코치'들에게 답을 전달하고 이를 다시 '관객'에게 전송하는 부정행위 수법은 물론 과목당 30만-50만원에 선수를 모집하고 있다는 등 이번 경찰 수사결과와 일치하는 내용이 실려 있다.

이처럼 인터넷 제보가 봇물을 이루자 지난 9일 광주지역 한 고등학교 고3 담임은 자신의 이름을 밝힌 뒤 '구체적으로 부정행위를 지적한 글이 있으니 확인한 뒤 조처해 달라'고 요구하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

그러나 광주시교육청은 지난 6일부터 9일까지 게시판에 오른 수능 부정행위 관련글 16건에 대해 "확인결과 허위사실을 유포한 것으로 파악된다"며 모두 삭제했다.

또 수능시험 다음날인 18일에도 '광주 G고교에서 C고교 학생들이 대규모 부정행위를 저질렀다'는 폭로의 글이 게재됐으나 이 역시 곧바로 삭제됐다.

이에 대해 광주시교육청 관계자는 "수능 부정과 관련된 글이 오른 뒤 해당 학교 등에서 '학교의 명예를 훼손한다'며 삭제 요청을 해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근거해 이를 삭제했다"고 밝혔다.(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