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이 올해 졸업년도 제한 규정을 적용하면서 적잖은 구직자들이 '엉뚱한 차별'이라고 반발했다.
반면 올들어 학력·나이 차별을 없애는 기업도 늘어나고 있다.
천편일률적인 기업의 채용관행이 기업에 따라 특성화하고 있는 것이다.
결국 구직자들은 자신의 나이와 처지에 맞게 취업전략을 세워야 한다.
내년엔 정부가 '사회적 일자리'도 크게 늘릴 전망이어서 실업상태에 있는 고령자 여성들도 기회를 노려볼 만하다.
◇대학 갓 졸업 20대
'가방끈'을 늘리기 위해 대학원에 진학하거나 어학연수를 고집할 필요가 없다.
일부 기업들이 졸업년도, 입사연령을 제한할 뿐만 아니라 아예 취업재수생을 받지 않는 곳도 있어 학벌이나 어학연수 때문에 세월을 보내는 것이 취업에 전혀 도움되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올 하반기 삼성에 지원한 구직자 5만5천여명 가운데 20%가량(1만여명)이 졸업년도 제한 규정을 몰랐거나 이를 감안하지 않고 원서를 냈다가 떨어졌다.
때문에 20대 구직자라면 대학원 진학이나 어학연수로 '세월 까먹기'보다는 아르바이트, 인턴, 공모전 등 다양한 실전경험을 쌓아가는 것이 취업에 더 유리하다.
◇취업이 쉽지 않은 30·40대
학력, 연령 철폐 기업을 노려볼 만하다.
학력, 연령제한을 없애기로 한 대표적인 곳은 9개 공기업.
나이와 학력 제한을 모두 폐지하겠다고 밝힌 공기업은 금융감독원, 근로복지공단, 예금보험공사, 에너지기술연구원, 수출보험공사, 마사회, 새마을금고연합회, 한림농림수산정보센터, 경기 고양시 시설관리공단 등이다.
또 220여개 정부 관련 기관의 20% 정도가 올해부터 나이 제한을 없애거나 없앨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두차례 신입사원을 모집하면서 연령 제한 규정을 없앤 한국관광공사의 경우, 지난 1월 모집 땐 지원자 2천264명 가운데 30세 이상이 177명(7.8%)이었다.
지난 4월 모집 땐 지원자 2천661명 중 30세 이상이 233명(8.8%)을 차지했다.
34명의 최종 합격자 중 30대 이상 지원자가 7명이나 됐다.
합격자 중 37세도 있었다.
학력과 연령제한을 없앤 한국산업인력공단도 올해 신입사원 (일반직 5급 50명) 공개 채용에서 31세 이상 합격자가 전체의 10%인 5명에 이르렀다.
특히 이들 중에는 불혹을 바라보는 37세도 있었다.
연령 철폐가 헛구호가 아닌 것을 밝힌 셈이다.
◇일자리 없는 고령자·여성
정부의 사회적 일자리 규모가 내년 크게 늘어난다.
기획예산처는 내년 한해동안 장애아교육보조원, 보육시설 사회적 일자리, 방문도우미사업, 숲가꾸기 사업 등 14개 분야에서 모두 4만1천235명이 취업할 수 있는 사회적 일자리를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올해 2만7천491명에 비해 50%가량 늘어난 수치. 지원예산도 올해 835억원보다 81.1% 늘어난 1천513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초·중등 일반학교의 장애학생을 돕는 장애아 교육보조원 지원사업 외에 농어촌 지역 장애아동을 위한 '장애아 순회교육지원사업' 과 대학에 재학중인 장애학생의 학습권 보장을 위한 '대학장애학생 도우미 지원사업' 이 새로 실시된다.
보육교사 4천280명에 대한 신규지원이 이뤄지고, 올해부터 시작된 저소득층 노인·장애인에 대한 '방문도우미 사업' 참여인원도 올해 4천500명에서 내년 7천명으로 늘어난다.
또 전국 500여개 지역아동센터(방과후 공부방)에 대한 운영경비 지원도 현재 월 67만원에서 200만원으로 인상돼 수당 현실화 또는 일자리가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노인계층을 활용한 사회참여형(공익강사형) 노인일자리(5천950명)에도 예산이 지원된다.
기획예산처는 내년엔 복지시설의 7천500여개 일자리에 대해 정부 예산을 지원할 방침이다.
전국의 주요 생태계 보전지역 감시요원을 올해 73명에서 내년 155명으로 늘리고 문화분야에서는 무용, 만화·애니메이션 분야에 강사풀제를 도입, 1천504명의 일자리를 만들어낸다.
산림청에서 실시하는 '숲가꾸기 사업'은 그동안 영림단, 산림조합 중심으로 추진돼 왔으나 내년에는 예산 235억원을 활용, 농촌 및 도시의 저소득층 2천명에게 일자리를 주게 된다.
정부는 재정 지원을 확대해 2008년까지 교육, 보건, 보육, 환경 등의 분야를 중심으로 8만명 수준까지 사회적 일자리를 늘려나갈 계획이다.
한편 외환위기 이후 저소득층에 대한 일자리 제공창구였던 공공근로사업은 규모가 축소된 가운데 내년에도 계속된다.
대구에선 내년 64억여원의 예산으로 15만명 정도에게 공공근로 일자리가 제공된다.
올해는 23만명이 공공근로를 통해 일자리를 얻었다.
인크루트.최경철기자 koala@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