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94년 미국이 대북 공격을 검토했던 제1차 북핵위기 당시 방북, 김일성(金日成) 전 주석과 협상을 통해 북미 중재역할을 했던 지미 카터 전 미 대통령이 북핵문제 해결을 위해 다시 방북, 중재자 역할을 할 뜻을 밝혔다.
카터 전 대통령은 지난달 하순 출간된 자신의 회고록'행복한 시간을 나누며'의'판문점에서 후지산까지'라는 제목의 장에서 94년 당시 김 전 주석과 담판했던 뒷얘기를 소개한 뒤"우리(부부)가 앞으로 북한을 다시 방문, 평화협정을 위한 협상을 할 필요가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당시 방북 배경에 대해 카터 전 대통령은"김 주석은 거의 3년에 걸쳐 내게 중재를 요청했으나 내가 한국전쟁 때 잠수함 승무원으로 복무할 때부터 경멸해온 독재자였기에 동기를 의심했었다"고 말하고 "그러나 김 주석은 끊임없이 내게 특사를 보내 핵위기 교착상태를 타개할 의지가 있다는 매력적인 메시지를 전해왔다"고 설명했다.
카터 전 대통령은 또"북한과 직접 대화를 하지 않겠다는 미국 정부의 무분별한 정책이 교착상태를 몰고 왔었다"며"미국은 작고 고립됐으며 가난하고 불가사의한 공산주의 국가에 대해 유엔을 통해 경제·정치적으로 심각한 제재를 가하려 했다"고 말했다.
그는 "(부인) 로잘린과 내가 카터 센터 프로젝트를 위해 수많은 외국을 방문했지만 아마 가장 흥미있고 중요했던 일은 한반도에서 전쟁의 참화를 막기 위한 방북이었다"며"94년 김 주석과 대동강에서 함께 뱃놀이를 할 때 김 주석이 보호토록 지시했다는 미국 수종 물고기 몇 마리를 낚시하기 위해서라도 북한에 가야할 것 같다" 고 재방북 의사를 강력히 내비쳤다.
카터 전 대통령은 또"북한이 공개 비난받고, 자신들의 지도자가 무법자로 낙인찍히면 북한이 한국에 대해 전면적인 공격을 감행할 것이라고 94년 6월 중국의 몇몇 친구들이 내게 말했었다"며"이들의 이 같은 견해는 주한 미 대사로부터도 확인됐다" 고 94년 당시 한반도 긴장상황을 설명했다.
그는 회고록에서 김 전 주석과 협상 과정을 설명하면서"그는 원자로 기술의 세부사항에 대해서도 놀라울 정도로 풍부한 지식을 갖고 있었다"고 전해 김 전 주석이 핵개발 작업을 직접 챙겼음을 보여줬다.
(워싱턴연합)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