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만15세(고 1생)의 문제해결력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1위로 '학업성취도 국제비교(PISA)'에서 조사된 가운데 만13세(중 2생)의 학업성취도도 수학 2위, 과학 3위를 차지했다.
반면 우리 학생들의 수학, 과학에 대한 흥미도와 자신감은 매우 낮고 남·여학생 간 점수 격차도 여전히 커 해결해야 할 과제로 떠올랐다.
국제교육성취도평가협회(IEA)는 46개 회원국의 8학년(중 2생)을 대상으로 2003년 실시한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 변화 국제 비교(TIMSS 2003)' 결과를 14일 자정(한국시간) 전 세계에 동시 발표했다.
이 조사는 1995년, 1999년에 이어 세번째 실시된 것으로, 우리나라는 149개 중학교에서 5천478명이 참여했다.
◆국제 순위 및 점수 상승=TIMSS 2003에 따르면 우리나라 학생의 수학 평균점수는 589점으로 싱가포르(605점)에 이어 2위에 올랐으며 홍콩(586점), 대만(585점), 일본(570점), 네덜란드(536점), 헝가리(529점) 등이 뒤를 이었다
과학 평균점수는 싱가포르(578점), 대만(571점), 한국(558점), 홍콩(556점), 일본(552점), 헝가리(543점), 네덜란드(536점) 순이었다.
1995년 및 1999년 조사와 비교해 수학은 3위→2위→2위, 과학은 4위→5위→3위로 순위가 바뀌었다.
성취수준별로 수학은 '수월'(625점 이상)이 35%로 싱가포르, 대만에 이어 3위였고 '우수'(550점 이상)도 70%로 역시 3위였으며 과학은 '수월'이 3위, '우수'는 싱가포르, 대만, 홍콩에 이어 4위였다.
우리나라 남·여학생의 수학 평균은 592점과 586점으로 6점(세계평균 1점), 과학은 564점과 552점으로 12점(세계평균 6점)의 차이가 났다
격차는 1995년(수학 18점, 과학 28점), 1999년(수학 6점, 과학 21점)에서 점차 줄어드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지난해 남학생 수학 평균이 1995년보다 3점, 1999년보다 2점, 그리고 과학은 1995년보다 6점, 1999년보다 5점 완만하게 오른 데 비해 여학생은 수학이 1995년보다 15점, 1999년보다 2점, 또 과학은 1995년보다 22점, 1999년보다 14점 가파르게 상승한 데 따른 것.
◆흥미도·자신감 여전히 최하위="수학에 자신이 있다"라는 학생은 30%(세계평균40%) 38위로 우리나라보다 자신감 있는 학생의 비율이 떨어지는 곳은 일본(17%)과 대만(26%), 홍콩(30%) 정도였다.
반면 미국과 호주, 스웨덴 등은 50% 안팎으로 자신감 조사에서 상위권에 속했으나 성취도는 15위 안팎이어서 동양권과 대조를 보였다.
"과학에 자신이 있다"라는 학생도 20%(세계평균 48%)로 일본과 함께 25위였다
수학학습이 즐겁다고 한 학생(43%, 세계평균 65%)보다 즐겁지 않다는 학생(57%) 이 많았고 과학 공부가 즐겁다고 한 학생(38%)도 세계평균(77%)의 절반이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관계자는 "수학·과학에 대한 자신감과 가치인식, 즐거움 등이 동양권 학생들에게 공통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으나 지적 성취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를 높일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싱가포르의 수학·과학 평균점수가 유의미하게 높고 한국, 대만, 홍콩, 일본이 치열한 순위 경쟁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일본은 1995년 수학·과학 모두 2위에서 1999년 전부 5위로 떨어졌다"라며 "일본은 지난번 PISA 결과에도 영향을 받아 교육과정 개편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라고 말했다.
◆TIMSS=TIMSS(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는 미 보스턴에 본부를 둔 IEA가 4년 주기로 회원국의 만 13세와 만 9세(초교 4년)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수학·과학 학업성취도 평가.
만 15세(고 1생)를 상대로 교육과정의 지식 등을 상황과 목적에 맞게 실생활에 응용할 수 있는 기본소양을 평가하는 OECD의 PISA 평가와 달리 국제 수준에서 합의된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문제를 출제하는 것이 특징이다.
예컨대 "같은 거리를 영훈이는 49.86초, 경재는 52.30초에 달렸다.
경재가 영훈이보다 얼마나 더 걸렸는가"(보통수준), "0.10, 9.99, 10.10, 10.90 가운데 10에 가장 가까운 수는 어느 것인가"(기초수준) 등이 지난해 평가에 나온 문제들이다.
(연합)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