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빈사상태 소매상권 살리자" 각계서 공감대 확산

본지의 '지역 경제 삼키는 공룡 할인점'시리즈 기획탐사 보도(12월 7일~11일 1, 3면 보도)이후 '더 이상 대구 경북 소매상권을 버려둬서는 안 된다'는 여론이 폭넓은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대구·경북의 재래시장, 슈퍼마켓, 식당 등 소매 상인들은 모임을 결성하거나 상호 연대를 통해 대형 할인점들을 막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해당 지자체에 요구하는 한편 출점 반대 서명운동에 돌입하고 있다.

지자체, 지방의회도 대형 할인점 출점 제한 조례 제정 모색, 타 시도의 사례 벤치마킹 등 지역 소매상권 보호를 위한 공감대를 넓히고 있다.

◇소매상인

대구 경북 주요 슈퍼마켓 대표 모임인 대구경북유통연합회는 13일 대구 시내에서 모임을 갖고 조합을 결성, 대형 할인점들의 지역 출점 저지에 나서기로 결의했다.

연합회는 모든 슈퍼마켓, 재래시장 연합회와 연계, 가칭 '대형 할인점 지역 출점 저지 범상인연대'를 만들어 공동 대처를 모색할 계획이다.

연합회는 이를 통해 해당 지자체와 의회, 경제단체에 대형 할인점 출점 제한 조례 제정, 도심 진입 규제 등 제도 마련을 요구하는 한편 대형 할인점 불매운동 및 출점 반대 서명운동을 추진키로 했다.

연합회 독고창목 회장은 "지자체, 경제계 모두 소매상권의 붕괴를 경제불황 탓으로 돌리고 있다 "라며 "가격 논리로 포장된 대형 할인점의 지역 경제 잠식을 지금 바로 잡지 않으면 중소상인들이 기반인 지역 서민 경제는 뿌리째 뽑힐 것"이라고 말했다.

포항의 대형 할인점 건축반대 범시민 대책위원회는 조만간 대형 할인점 진출을 제한할 수 있는 시 조례 제정을 위해 시민 5만명 서명 운동에 돌입할 계획이다.

대책위는 또 포항시에 이마트, 홈플러스 등 출점을 추진중인 대형 할인점에 대해 건축심의 때부터 공청회를 열도록 건의할 예정이다.

김인엽 위원장은 "지자체는 대형 할인점들의 부지매입 단계에서부터 인근 소매상권을 보호할 수 있는 대책을 세워야 하고, 지역 언론 및 경제단체도 힘을 보태야 한다"고 했다.

안동경제살리기협의회도 범 동해권 네트워크를 구성, 대형 할인점에 공동 대응키로 했다.

김윤한 위원장은 "영주, 포항 등 경북도는 물론 태백, 춘천, 강릉 등 전국 재래시장 및 소매 상인들을 연결하는 범동해권 네트워크를 구성해 대형 할인점들의 무차별 입점을 차단하겠다"고 밝혔다.

◇지자체, 경제계

경북도는 타 시도에서 시행하거나 추진중인 대형 할인점 출점 제한 방안의 벤치마킹에 들어갔다.

도는 사례수집 후 내부 의견을 거쳐 시·군, 의회 등과 규제 관련 타당성 여부를 검토할 방침이다

또 시·군의 상인 대표들과 현장 간담회를 가져 대형 할인점 출점에 대한 의견도 듣기로 했다.

대구시 여희광 경제산업국장은 "대형 할인점 때문에 소매 상인들이 큰 타격을 받고 있는 만큼 어떤 형태로든 소매상인들에게 도움을 주는 방향으로 정책을 펼 것"이라고 말했다.

안동시는 타 시 도 중소도시의 대형 할인점 도심 진입 봉쇄, 상업지역 한정 출점 등의 조치를 면밀히 검토중이며 앞으로 대형 할인점의 신규 진출을 최대한 억제할 계획이다.

포항시 경제통상과 신기익 상가지원 담당은 "상위법 때문에 시 조례 제정 등에 어려움이 많은게 사실이나 주거지역이나 준공업지역 등에는 대형 할인점이 들어올 수 없도록 하는 도시계획 시설 결정이나 건축법을 규제하는 방안이 있다"라고 말했다.

기획탐사팀 이종규기자 jongku@imaeil.com 이상준기자 all4you@imaeil.com사진: 대구경북유통연합회 간부들이 대형 할인점의 지역 출점을 저지하기 위해 결의를 다

지고 있다. 정우용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