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안법 처리문제와 관련, 여야의 '강경파'가
각자의 입장 관철을 위해 동시다발적 농성에 돌입하는 '진풍경'이 연출되고 있다.
국회 법사위에서 국보법 폐지안 상정을 놓고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이 대치중인
가운데 20일에는 여당내 강경파와 민주노동당이 국보법 폐지를 외치며 농성에 돌입
하면서 국회의 정상적인 의사진행 절차가 사실상 마비됐다.
장영달(張永達) 유시민(柳時敏) 의원 등 국보법 연내처리를 주장하는 열린우리
당 의원들은 20일 의원총회 직후 "4대 입법 연내처리에 대한 결연한 의지를 보여주
자"며 '240시간 연속 의총'을 열기로 했다. 말이 연속의총이지 내용은 농성이다.
이에 따라 우원식(禹元植) 정봉주(鄭鳳株) 유승희(兪承希) 노영민(盧英敏) 정청
래(鄭淸來) 의원 등 재야.운동권 출신 의원 40여명은 이날 오후부터 국회 본청 146
호에서 4대법안 연내처리를 촉구하는 열흘간의 농성에 돌입했다.
이들은 또 국회 정문 앞에서 국보법 폐지를 요구하며 농성중인 시민단체 관계자
들을 격려 방문하는 등 활동폭을 넓혀가기로 했다.
이에 앞서 천정배(千正培) 원내대표는 국회 정상화 협상시한인 21일 오전까지는
의원총회 형식을 띤 농성을 자제해 달라고 요청했으나, 이들은 "우리의 농성이 당지
도부에게 힘을 실어주는 것"이라며 거부했다.
민노당도 이날 오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열린우리당이 한나라당과의 야
합을 포기하고 국보법 폐지를 비롯한 개혁과제 연내 관철에 동참할 것을 촉구한다"
며 국회 본청에서 24시간 시한부 농성에 돌입했다.
민노당은 그러나 자신들의 이러한 요구를 여당이 거부할 경우 "시대와 국민의
요구를 따라 열린우리당을 반개혁, 국민기만세력으로 낙인찍고 투쟁에 나설 수밖에
없다"고 말해 '거리투쟁'에 나설 가능성도 시사했다.
이런 가운데 한나라당은 여당의 국보법 폐지안 '날치기' 처리를 막겠다며 지난
8일부터 법사위원회 회의장을 점거한 채 농성중이다.
일단, 이날 한나라당 지도부가 여당의 '4자회담' 제의를 수용함에 따라 국회 안
에 벌어지는 '농성사태'는 해소될 가능성이 적지 않다.
하지만 여야 강경파와 민노당은 입장이 관철될 때까지 농성을 풀지 않겠다는 방
침인 것으로 알려져 제도권 국회에서 '재야 투쟁방법'이 연출되는 모순된 상황은 당
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