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우리나라에는 겨울을 나려는 철새들이 날아와서 보금자리를 이루고 있다. 신문 기사를 참고해 2학년 2학기 슬기로운 교과서 '새들의 겨울나기'에 나오는 철새와 텃새의 의미, 우리나라에 날아오는 철새의 종류를 알아보면서 자연에 대한 탐구 능력도 키워보려 했다.
문1. 철새와 텃새가 무엇인지 그 의미를 알아보자.
답. 철새 : 여름 철새와 겨울 철새가 있는데 여름 철새는 늦봄에 오고 겨울 철새는 늦가을에 와서 추운 겨울을 우리나라에서 지내고 간다.
텃새 : 텃새는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동안 우리나라에 있는 새이다.
문2. 우리나라에 날아오는 철새와 텃새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조사해 보자.
답. 철새 : 기러기, 두루미, 백조, 개똥지빠귀, 청둥오리, 따오기, 고니, 흑두루미, 꾀꼬리, 뻐꾸기, 제비 등
텃새 : 참새, 종달새, 까치, 꿩, 올빼미, 수리부엉이, 박새, 멧비둘기 등
문3. 위의 사진은 구미시 해평면 낙동강변에 나타난 흑두루미이다. 이 철새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
답. 긴 목과 긴 부리, 긴 다리를 가진 새로서 몸에 검은색이 많아 흑두루미라고 부른다. 공룡과 같은 시대에 살았을 정도로 오랜 역사를 지녔고 대부분 습지에 살면서 어류나 곤충, 양서류, 식물의 뿌리 등을 먹는다. 얕은 호수나 강 중앙에서 한 다리로 서서 잠을 잔다. 천연기념물 228호로 지정되어 있다.
문4. 장거리 이동을 앞두고 철새는 몸무게가 느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
답. 철새는 장거리 여행을 하기 전에 먹이를 많이 먹어 영양분을 저장하기 때문에 몸무게가 느는 것이다. 여행을 할 때 먹이를 먹지 않고 영양분을 사용하기 때문에 먹지 않고 먼 길을 여행할 수 있다.
문5. 환경오염으로 해마다 우리나라에 날아오는 철새의 수가 줄어든다고 한다. 우리나라에 많은 철새가 날아오게 하려면 가정에서 우리가 어떤 일을 해야 하는지 이야기해 보자.
답. 설거지를 할 때 세제를 많이 쓰지 않고, 머리를 감을 때 샴푸를 많이 쓰지 않고, 음식은 먹을 만큼 덜어먹고 남기지 않는다.
학부모 여은하, 자녀 이다인(북대구 초등학교 2학년)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