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0원 내외의 현재 원·달러 환율수준은 수출 기업의 평균 손익분기 환율과 올해 경영계획 작성시 예상한 연평균 환율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7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업종별로 매출액이 큰 600대 기업 가운데 수출기업 200개사를 대상으로 최근 환율하락에 대한 의견을 조사한 결과, 응답기업 전체의 평균손익분기 환율은 982.8원으로 집계됐다.
또 전체 응답기업의 경영계획상 연평균 환율은 998.8원으로 조사돼 평균 손익분기환율과 연평균 예상환율 모두 970원 내외의 현재 환율보다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손익분기 환율과 경영계획 작성시 예상한 연평균 환율로는 '980~1천20원'을 꼽은 기업이 각각 33.3%와 60%로 가장 많았지만 올 상반기 말 예상환율과 올해 말 예상환율로는 각각 55.1%와 49.7%가 '940~980원'을 꼽아 기업들은 지속적인 원화강세를 전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970원 내외의 환율이 유지될 때 64.6%의 기업은 '수출품의 가격 경쟁력이 현저히 저하된다'고 답했지만 '수출부품 가격하락과 엔화 동반 강세로 원화 강세효과가 상쇄된다', '오히려 가격 경쟁력이 강화된다'고 답한 업체도 각각 35%와 6.1%나 됐다.
원화절상에 대해 이들은 △경영 효율화로 흡수(54%) △환리스크 관리강화(31%) △수출가격 인상(12%) 등의 전략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답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