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 책을 읽는다] '어둠의 저 편-무라카미 하루키'

점점 어두워지면서 급기야 비 내린다. 기어코 내리고 만다. 얼기설기 쌓아놓은 책들의 제목이 희미해진다. 어둠이 깃든 것이다. 닫힌 커튼 너머로 후두둑 빗소리, 봄비다. 계절은 다시 젊어지고, 정원의 연록 잎들은 점점 더 짙푸르러질 것이고, 이 비 지나면 필 꽃은 새삼 필 것이고, 진 꽃은 일찍 열매를 맺을 터.

어쩌나, 사 둔 상추씨를 아직 정원에 뿌리지 못 했는데. 한 송이 꺾어 탁자에 둔 작약은 저렇게 벙글어 벌써 제 잎을 주체 못해 저토록 휘청거리는데, 몇 날 며칠 뱅뱅 맴돌기만 하는 싯구는 아직도 마음을 이렇게 휘젓는데.

하루키, 무라카미 하루키, 그 자 때문이다. 느닷없이 지난 어느 봄날 불 켜진 내 방에 찾아와 창가에 서성이다가 날 밝도록 돌아가지 않은 그 인간 때문이다. '노르웨이 숲'('상실의 시대'로도 번역돼 있다.) 이후 젊은 날 나의 문학 트렌드를 확 바꿔 놓은 소설가가 일본인이라는 것이 너무나 자존심 상해 다시는 읽지 않겠노라 결심했던 그 때문이다.

그 독서 취향은 한참 후 '우리의 김영하'를 읽으면서 어느 정도 극복되었다고 생각하면서 '양을 쫓는 모험' '세계의 끝과 하드보일드 원더랜드' '댄스 댄스 댄스' '태엽 감는 새'도 큭큭 웃으면서 너끈히 읽어댔다. 그러나 제기랄,

카프카를 제 이름으로 삼은 십오 세 소년의 불안하기 짝이 없는 실존법을 성장소설로 포장한 '해변의 카프카'를 그 불 켜놓은 봄밤에 읽고 나자 휘잉~ 가슴과 머리에 공황이 왔다. 분명코 밤을 새운 탓에 온 것은 아닌 휘둘림.

그렇게 휘둘리다가, 어차피 스물네 시간 안에 잠들긴 글렀군, '하루키 꺼' 한 권 더 없나? 일층 쪽방에 만들어 놓은 책방에 와서 책장을 훑는다. 그때 찾아낸, 우리 도서관에서 가져다 놓은 '어둠의 저편'을 들고 와 아픈 눈을 비비며 읽는다.

허걱, 역시 하루키다. 천 년 된 소설이라 일본에서 우기고 있는 『겐지 모노가타리』를 진즉 잘 읽어두었군 생각하며 점점 쓰려오는 눈을 비비며 끝장을 내버린다. '겐지'는 몇 년 전 송재학 시인이 '도서 구입을 위해' 내가 요청한 그 리스트에 나쓰메 소세키, 아쿠다가와, 다자이 오사무와 함께 시공을 초월해 딱딱한 컴퓨터 문자와 문자 사이 동그랗게 앉았던 무라사키 시키부의 궁정소설이다.

탁자의 작약이 너무 벙글었다. 아직 입을 꼭 다물고 앉은 꽃망울이 옆에 또 주렁 있건만.

박미영(시인·작가콜로퀴엄 사무국장)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