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봄, 대구가 생기를 찾기 시작하는 것 같다. 2011년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유치를 계기로 삼아 대구 도약의 발판을 삼으려고 대구시가 발표한 한 계획을 보고 시민의 한 사람으로 즐거운 마음으로 몇 가지 조언을 드리고자 한다.
그것은 바로 얼마 전 대구시가 팔공산 옛 공무원교육원 부지 일대에 목재박물관, 톱밥 찜질 방, 황토 흙집 촌, 산림공기욕장, 생태연못, 야생화단지, 산악레저·스포츠 단지 등이 포함된 국제적인 산림문화 종합리조트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는 계획이다. 이 아이디어는 한국의 명소를 만들겠다는 발상의 전환으로 보이는데 이 좋은 계획에 좀 더 빛을 낼 수 있는 몇 가지를 제시 하고자 한다.
첫째, 부대시설로 좀 큰 규모의 전통한옥의 숙소를 지었으면 한다. 콘크리트 기둥에 기와지붕을 얻는 그런 짝퉁이 아닌, 주변의 산세와 어울리는-본관 건물이든, 부속건물이든-리조트형태의, 거부감 없는 아늑한 숙소를 말 한다.
국내는 물론, 대구에도 양실의 호텔은 많지만 '이것이 전통한옥이다!'며 잠 잘 곳은 본인이 알기로 전주 한옥마을과 경북 영주시 순흥면 선비촌 등, 손꼽을 정도다. 공기좋은 팔공산자락에 콩기름 냄새로, 윤기나는 따끈한 장판위에서 솔바람소리와, 처마의 낙숫물소리를 듣는 다고 상상해 보면 관광광객이 아니라도 즐겁지 아니한가? .
반드시 2011년 세계육상대회에 맞출 필요는 없다. 대구EXCO가 날로 발전하여 년간 수십건의 대규모 국제전시회를 개최하며 지금도 외국바이어들이 숙소부족을 호소하기 때문이다. 동대구역~대구엑스코~대구공항~산림문화 리조트 간의 연계된 셔틀버스를 운행하면 해결되고, 평소에는 기업체 연수 장소로, 청소년이용의 유스호스텔로 이용하면 경영에는 큰 어려움이 없으리라 생각된다. 또, 인근에는 5월에 개장하는 세계 유일의 방짜유기박물관이 있으니 함께 홍보하면 효과가 배가할 듯하다.
아울러 인근의 사찰과 협의, 한국불교문화에 관심가진 분들의 템플스테이도 연계할 수 있으면 대구의 鎭山(진산)인 팔공산 자락이 대구정신문화의 요람으로 거듭 날 수 있으리라는 생각된다.
두번째는 요즈음 세계 5대 건강식품으로 다시 각광받고 있는 우리 김치를 잘 활용하자는 것이다. 보는 관광에서 체험하는 관광으로 바뀐지는 오래됐다. 요즘들어 도자기 만들기, 천연염색, 한지 만들기 등이 인기를 끌고 있다. 그래서 외국인을 상대로 직접 김치 만들기를 배울 수 있는 '김치학교(김치스쿨)'을 운영하여 자기가 만든 김치를 진공 포장하여 귀국 시에 선물로 가져가거나 완성된 김치를 위생포장해 공항에서 보다 저렴하게(혹은 무료로) 가져갈수 있도록 하면, 한국문화의 수출과 외화획득에도 도움되리라 생각된다.
세번째는 관광의 큰 즐거움 중 하나인 먹거리인 만큼 대구 막걸리를 좀 더 연구개발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다. 대구 막걸리의 좋은 맛은 애주가 사이에 많이 소문나 있다. 따라서 대구막걸리를 포장 개선하고 보존기간 늘릴 수 있으면 외국수출도 하고 관광객들 흠뻑 취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것들을 갖추면 대구 산림문화리조트는 훈훈한 대구문화, 사람냄새가 풍기는 가고 싶고, 머무르고 싶은 곳이 될 것이라 믿는다.
최희곤 전 대구시산악연맹 사무국장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