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경북 경제통합 무엇을 위한 것인가"

조례안 마련 차질

대구·경북이 함께 살 길이라며 대구시와 경북도가 의욕적으로 추진 중인 경제통합에 대해 관련조례안을 처리해야 하는 대구시의회와 경북도의회의 시각이 크게 엇갈려 통합추진에 적잖은 진통이 따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두 의회 간의 의견차이는 경제통합이 정확히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 불분명하고, 경제통합을 통해 얻게될 구체적인 성과는 무엇인지, 그리고 통합의 주체는 어디인지도 모호하다는 점에 모이고 있다.

경북도의회 전찬걸(울진) 도의원은 18일 임시회 도정질문에서 "지금까지 경북과 대구는 여러 업무를 통해 상생의 길을 걸어왔는데 갑자기 대구·경북의 경제통합만이 살길이라고 주장하는데 당황하지 않을 수 없다."며 "경제통합의 내용과 추진방향은 무엇이며 이로 인해 경북도가 얻게 될 성과는 무엇인가."라고 따졌다.

전 의원은 또 "대구경북연구원의 보고서를 보면 통합의 주체가 대구와 경북 남부지역으로, 마치 대구의 경제발전을 위해 경북이 대구로 통합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며 "통합의 주체는 어디이며 누구를 위한 통합인지 분명히 밝히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낙후된 경북 북부지역은 경제통합 권역 밖에 위치한 지역으로 인식되고 있는데 이것이 사실인지, 사실이라면 경북 특히 북부권 발전계획에 대한 대책은 무엇인지 상세히 밝히라."고 요구했다.

이 같은 의견에 경북 특히 북부권 도의원들의 대부분이 공감하고 있다. 북부지역의 한 도의원은 "지역주민들 대부분이 경제통합에서 북부권이 얻을 이익에 대해 회의적이다."며 "대구에서 북부지역의 농산물을 조금 소비해주는 것으로 경제통합이 이뤄질 수는 없는 것 아니냐. 주민들을 설득할 수 있는 통합효과를 먼저 제시해야 통합논의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대구시의회와 경북도의회는 경제통합을 위해 지난 1월과 3월 두 차례 만나 통합방안을 논의했으나, 통합의 방향과 효과를 놓고 의견이 엇갈려 구체적인 결과물을 내지 못하고 있다.

대구시의회는 경제통합을 신속히 추진하지는 입장인 반면, 경북도의회는 사실상 대구에 경북이 흡수되는 방식의 통합은 안되며 해당 지자체 주민들이 수긍할 수 있는 통합모델의 마련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 때문에 대구시의회와 경북도의회가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경제통합 조례안 마련도 차질을 빚어, 현재 개회 중인 대구시의회 임시회에는 '대구·경북 경제통합 조례안'이 상정된 반면 경북도의회는 조례안 마련 작업도 진행하지 못하고 있다.

정경훈기자 jghun316@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