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선·총선 정치적 이해…한나라당+ 범여권- (?)

한나라당이 경선룰 갈등으로 깨질듯하다가 극적으로 수습될 수 있었던 이유는 뭘까. 범여권이 소통합이나 대통합을 위해 그렇게 매달리고 있는데도 지지부진한 상황을 벗어나지 못하는 이유는 또 뭘까.

무엇보다 내년 4월 총선을 의식한 정당(정파) 혹은 의원들의 득실계산이 작용했을 것이란 분석이 많다. 결국 총선이 연말 대선을 앞둔 한나라당엔 '플러스', 범여권에는 '마이너스'로 작용하고 있는 셈이다.

양측 상황이 엇갈리는 것은 한나라당 경우 영남권이란 텃밭과 보수층의 지지를 기반으로 제1야당이란 위상을 고수해왔던 반면, 범여권에서는 전통적인 텃밭인 호남지역의 맹주가 지난 총선을 통해 열린우리당으로 교체됐다가 다시 민주당으로 원위치할 움직임을 보이면서 열린우리당 및 탈당세력에게 비상이 걸리는 등 역학 관계가 흔들리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한나라당에서는 이명박 전 서울시장과 박근혜 전 대표 측 인사들이 경선룰에 이어 후보 검증론을 놓고 첨예하게 맞서 있으나 탈당으로 치닫지는 않을 것 같다.

무엇보다 이들이 제1당인 한나라당을 떠나 총선에 출마한다는 게, 특히 영남권 출신에게는 적잖은 부담이 될 것이기 때문.

지지했던 대선주자가 경선에서 이겼다고 해도 대선에서 승리할지는 장담하기 어렵고, 집권했을 때도 당선자가 과거처럼 후보공천을 좌지우지하기에는 어느 정도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대선주자들이 탈당해도 따라갈 의원들은 소수에 그칠 가능성이 높아 분당이 현실화되기는 어려운 것.

그러나 대선 이후 헤쳐모여식의 정치권 지각변동이 초래될 것으로 가정한다면 의원들의 행보가 좀 더 자유로울 수 있다.

범여권에선 호남권의 지지기반을 회복한 민주당이 자신들 중심의 통합을 추진하고 있는데, 대선과 총선을 계기로 여권의 맹주로 다시 부상하겠다는 계산과 맞물려 있을 것이다. 열린우리당과 탈당세력들은 이에 맞서야 하는 처지이며 제3지대 통합론이나 대선주자 연석회의를 제기하고 있는 것도 같은 맥락일 것이다.

게다가 민주당은 박상천 대표 측과 이에 맞서는 비주류 측이, 통합신당모임은 신당을 창당했던 김한길 대표 측과 반대했던 측이 통합방식 등을 놓고 내부 갈등을 빚고 있는데 총선을 앞둔 주도권 싸움으로도 비쳐지고 있다.

서봉대기자 jinyoo@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