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불량성빈혈과 골수이형성증후군 등 수혈 치료에 의존해야 하는 혈액병 환자 3명 중 1명은 몸 속에 철(Fe)이 과잉 축적돼 장기에 손상을 주는 '철 중독증' 상태에 있다는 조사 논문이 발표됐다.
이는 경북대병원, 가톨릭대 여의도성모병원 등 전국 7개 의료기관이 각 병원을 방문한 재생불량성빈혈과 골수이형성증후군 환자 1천128명을 대상으로 한 '만성 수혈로 인한 국내 철중독증 발병 현황' 조사결과이다. 국내에서 철 중독증으로 인한 장기 손상에 대한 대규모 조사 결과가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전체 조사 대상자 중 29.3%(331명)가 철 중독증인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철 중독증 환자 중 29.3%(97명)는 이미 1가지 이상의 장기 손상이 발생해, 혈액질환과 함께 철 중독증으로 인한 장기손상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생불량성빈혈환자 795명 가운데서는 25.2%(200명)가 철 중독증으로 진단됐고, 이들 중 34%(68명)에서 1가지 이상의 장기 손상이 확인됐다. 가장 흔한 장기 이상은 만성간질환(60.3%)이었으며, 이어 당뇨병 및 당내불성(45%), 심장기능 이상(20.6%) 등 순이었다.
장기손상이 확인된 68명의 수혈 의존기간은 평균 5년이었다.
골수이형성증후군 환자들의 경우에는 333명 중 39.3%(131명)가 철중독으로 진단됐다. 이들 중 22.1%(29명)에서 1가지 이상의 장기 손상이 확인됐다. 장기손상이 확인된 29명의 수혈의존기간은 2년이었다.
국내에는 현재 골수이형성증후군 환자(2천여 명), 재생불량성 빈혈을 포함한 희귀 빈혈환자(7천여 명) 등 약 9천여 명의 만성혈액질환 환자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교영기자 kimky@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예성강 방사능, 후쿠시마 '핵폐수' 초과하는 수치 검출... 허용기준치 이내 "문제 없다"
국힘 "李정부, 전 국민 현금 살포 위해 국방예산 905억 삭감"
임은정, 첫 출근 "한때 존경했던 검찰 선배가 내란수괴…후배들 참담"
김민석 국무총리 첫 일정 농민단체 면담…오후엔 현충원 참배·국회의장 예방
[사설] 尹 정부 특활비 '0'으로 삭감해 놓고 정권 잡자 복원한다는 몰염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