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포스텍 차세대 플라스틱 메모리 반도체 개발

접거나 입는 컴퓨터, 접는 전자종이를 가능하게 할 기술이 포스텍의 이문호(53·화학과·사진 왼쪽), 김오현(52·전기전자공학과) 교수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 포스텍은 10일 이·김 교수 연구팀이 비휘발성 메모리 플라스틱 신소재를 공동으로 개발, 이를 이용해 고성능 비휘발성 메모리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날 신소재 분야의 대표 저널 중 하나인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터리얼스(Advanced Functional Materials)'를 통해 공식 발표된 이 기술은 전압 및 전류에 따라 플라스틱 박막의 전도성을 변화시켜 정보를 저장하거나 읽고 지우도록 한 것. 기존의 실리콘 및 금속산화물을 사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반도체와 저장방식이 다르다.

또 신호·정보처리 시간도 수십 나노초(1나노초는 10억 분의 1초)에 불과해 초저소비전력 구동이 가능하다. 특히 이 반도체는 플라스틱 신소재를 사용해 가볍고 쉽게 구부리거나 3차원적으로 고집적화할 수 있어 접는 전자신문, 전자책이나 노트, 휘어지는 화면, 접거나 입는 컴퓨터와 같은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자제품 개발에 쓰일 전망이다.

연구팀은 "기존의 반도체에 비해 제조공정도 단순해 제조 원가를 10분의 1수준으로 낮출 수 있어 차세대 고성능 비휘발성 메모리 반도체를 낮은 단가로 제조, 상용화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됐다."고 말했다.

포항·이상원기자 seagull@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