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수폭포가 있는 곳엔 커다란 돌이 많은데 용수덤이라 부르지요. 용수폭포란 말도 바로 용수덤에서 연유했다고 봅니다."
50m폭포, 5층폭포, 용쉼터폭포 등 다양하게 불리는 용수폭포에 대해 폭포 아래 가천면 신계리에 사는 최경환(69) 씨는 용수폭포가 정확한 이름이라고 했다. 여기에서 덤은 상아덤의 덤과 마찬가지로 큰 바위가 있어 사람들의 생활 터전이 되던 곳을 일컫는 말이다.
겨울이면 용수폭포가 얼어붙어 그 높이가 50m를 넘는다는 최 씨는 용수폭포 부근에서는 더위를 느끼지 못할 정도로 시원해 동네 주민들의 오랜 피서지라고 귀띔했다. 폭포는 절터골, 복골로 불리는 두 계곡에서 모인 물이 한꺼번에 쏟아져내리며 장관을 연출하고 있다. "60년대까지 절터골에는 화전민들이 콩을 재배하며 살았지요. 그 이후부터 지금까지는 동네 주민들이나 찾는 곳이어서 용수폭포는 깨끗하게 보전되고 있어요."
가야산 정상을 50차례나 오를 정도로 평생을 가야산과 함께 살고 있는 최 씨는 "신령스런 기운을 갖고 있는 가야산은 오르면 마음이 푸근해지는 명산"이라고 얘기했다. 특히 성주, 김천, 합천, 거창 등 4개 시군의 접경지에 해당하는 가천면에는 용수폭포, 만귀정폭포, 죽전폭포 등을 비롯해 가야산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숨은 명소가 많다는 게 최 씨의 자랑. 사람들이 많이 찾는 해인사쪽과 달리 성주쪽 가야산엔 찾는 사람이 적어 안타깝다는 그는 "개발이 이뤄져 많은 사람들이 가야산을 찾아 명산의 아름다움을 직접 느끼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대현기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