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여수, 순천, 광양시 3개 지방자치단체가 2010년 이전까지 통합에 합의한 가운데 경산시와 인근 영천시, 청도군과의 통합 또는 대구광역시로의 통합 등의 문제가 새로운 쟁점으로 부각될지 여부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17대 총선에서는 경산·청도를 대구에 통합하는 문제가 새로운 쟁점으로 부각된 바 있다. 총선 이후에도 한나라당 이한구(대구 수성갑), 최경환(경산·청도), 주호영(수성을), 주성영(동갑) 의원 등은 의원 간담회를 열고, 대구·경북 시도 통합에 앞서 경산·청도의 대구 편입에 적극 나서기로 의견을 모으기도 했다.
경산시와 청도읍의 대구광역시 통합 문제는 지난 1992년 대구시의회에서 시역 확장 문제를 제기한 이후 1994년 하양읍·와촌면 주민들의 통합 요구 등으로 많은 관심과 논란의 대상이 돼왔던 것. 지난 1995년 3월 달성군이 대구시로 편입된 뒤 선거 때만 되면 단골 공약으로 거론되는 등 그동안 주요 이슈로 등장했었다.
이 문제는 최근 전남 여수, 순천, 광양시 3개 지방자치단체가 2010년 이전까지 통합에 합의함에 따라 새로운 관심사로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이 문제와 관련, 최병국 경산시장은 "경산시와 영천시, 청도군과 통합해 광역화하는 것에 원칙적으로 찬성하지만 대구광역시로 흡수 통합에는 반대한다."고 말했다. 최 시장은 "경산시와 인근 시군과의 통합을 통해 독자적으로 어느 정도 광역화된 도시로 발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앞으로 이 문제는 해당 자치단체 주민들의 공감대가 형성되면 여론을 충분히 수렴해 공론화해 볼 만한 사안"이라고 말했다.
경산시의회 윤성규 의장도 "경산시와 영천시, 청도군과의 통합 문제는 경북도청의 이전지가 어디로 확정될지에 따라 논의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제한 뒤 "경산시와 인근 자치단체와의 광역도시 개념의 통합에는 원론적으로 찬성하며, 이들 자치단체가 광역도시로 통합된다면 더 나아가 대구광역시와의 통합 문제도 논의해 볼 사안"이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하지만 3개 시군의 광역화 문제나 대구시로의 편입 여부는 넘어야 할 산들이 많다. 주민들의 견해를 하나로 집약시키기 어려운데다 지자체들의 영역 축소에 따른 공무원들의 반발 등이 산적해 있기 때문이다.
경산·김진만기자 fact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