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가 신활력지역 선정에서 탈락한 뒤 각 대학들이 신활력지역 학생들에게 농어촌특별전형 혜택을 주겠다고 나서 영주지역 교육계와 학부모들이 술렁이고 있다.
영주는 지난 7월 발표된 제2기 신활력지역 선정에서 탈락했다. 이어 서울대 등 전국 대다수 대학들이 2007년도 입시부터 신활력지역 고교를 농어촌특별전형 대상에 포함시켰다.
지역 교육계는 "경북 북부지역 7개 시·군 중 유일하게 영주만 신활력지역에서 제외돼 명문대 진학을 노리는 지역 학생들이 피해를 보게 됐다."며 "경제·문화·교육적 환경이 우세한 안동시는 이번에 신활력지역에 포함돼 상대적으로 대학 진학에 유리해졌다. 지역 학생들의 외지 유출 등이 우려된다."고 불만을 터트렸다.
고교 3학년 입시를 맡고 있는 한 교사는 "제반 여건이 우수한 인근 안동시를 신활력도시로 선정하면서 교육환경이 열악한 영주를 제외한 것은 지역 교육계와 학부모, 학생들의 노력에 찬물을 끼얹는 처사다. 명문대 지원을 원하는 학생들이 큰 피해를 입게 됐다."고 실망감을 감추지 못했다.
신활력지역은 행정자치부가 낙후지역 개발 지원을 위해 2005년부터 2013년까지 3기로 나눠 전국 70개 시·군에 국고 5천782억 원을 지원하는 사업. 3년마다 평가를 거쳐 재선정하며 이번에 선정된 지역은 대학 입시 농어촌특별전형에 포함, 입학정원 4% 이내의 정원모집 특혜와 함께 정부로부터 각종 예산지원을 받게 된다.
한편 영주시 교육지원담당은 "영주는 올해 교육부로부터 교육특구도시로 지정됐는데, 교육특구도시도 농어촌특별전형 혜택에 포함시켜 줄 것을 정부 관련 부처 및 전국 주요 대학 등에 건의 중"이라고 말했다.
영주·마경대기자 kdma@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