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경제자유구역' 指定 계획 더 다듬어야

대구시와 경북도가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위한 청사진을 어제 발표했다. 국제적인 연구'교육'지식기반 도시로 발돋움한다는 목표 아래 확정한 '지식창조형 지식경제자유구역' 지정 계획안이다. 이 계획안은 국회 재정경제위원회가 국제공항과 항만 보유라는 경제자유구역 지정의 인프라 전제조건을 삭제함에 따라 한층 탄력을 받게됐다.

경제자유구역 지정의 필요'충분조건은 무엇일까. 두말할 것도 없다. 돈과 사람이다. 돈과 사람을 그러모을 수 있는 계획이면 지정 가능성은 100%다. 인천 등 경제자유구역 지정 도시가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것도 돈과 사람이 모였기 때문이다. 수도권 입지와 국제공항 등 뛰어난 인프라만 動力(동력)이 아니다. 아무리 인프라가 좋아도 이를 운용할 우수 인력이 없다면 무용지물이다.

'지식경제자유구역' 지정 계획안은 대구와 경북이 함께 손잡고 청사진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점수를 줄 수 있다. 그러나 2% 부족하다. 구미 모바일밸리, 대구 첨단산업특화지역, 금호강 지식서비스밸리 등은 지역 현안 사업으로 포장된 '종합선물세트'라는 느낌이 강하고 특색이 보이지 않는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이 청사진이 다른 지역과 차별화한 '지식창조형' 계획안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진수성찬이라도 막상 젓가락 갈 데가 없다면 곤란하지 않겠는가.

정부는 10월 말까지 경제자유구역 지정 신청을 받을 계획이다. 그렇다면 앞으로 한 달여밖에 시간이 없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대통령선거와 연계해 지역 공약사업으로 추진할 心算(심산)인 모양이나 무모하게 밀어붙이는 습성은 버려야 한다. 계획안을 보다 精緻(정치)하게 보완해 경제자유구역 지정에 차질을 빚지 않도록 하는 게 최선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