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상주 곶감, 시장 지키기 비상

중국산 저가공세에 생산이력제 실시 대응 나서

▲ 곶감이 본격 출하되면서 곶감의 본고장 상주는 주홍빛으로 물들고 있다. 하지만 중국산이 대거 유통되면서 곶감 생산자들의 고민도 깊어진다. 상주 곶감을 손질하는 모습.
▲ 곶감이 본격 출하되면서 곶감의 본고장 상주는 주홍빛으로 물들고 있다. 하지만 중국산이 대거 유통되면서 곶감 생산자들의 고민도 깊어진다. 상주 곶감을 손질하는 모습.

새해 들어 상주곶감이 본격 출하되면서 덩달아 중국산도 활개를 치고 있다. 중국산은 최근 들어 국내산과 구별이 어려울 정도여서 상주는 상주본고장 곶감 지키기에 비상이 걸렸다.

지난해 중국산 곶감은 모두 3천100t이 국내로 들어왔다. 관세청 수출입 통계에 따르면 중국산 곶감 수입은 지난 2004년 5천760t이던 것이 2005년 5천470t, 2006년 4천200t, 2007년 3천100t으로 해마다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해가 갈수록 중국산 곶감의 건조법이 국내 기술력과 비슷해져 지난해 수입된 곶감은 구별조차 어려울 정도라는 게 문제다.

실제로 지난해 수입된 곶감 가운데 추석과 국내 곶감 출하시기에 450t과 1천300여t이 집중 수입됐으며 이는 2006년에 비해 각각 660%와 230% 증가했다.

이는 소비자들이 중국산 곶감을 선물용 등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늘었기 때문.

예전 경우 꼭지부분과 색깔, 모양 등으로 국내산과 중국산 곶감을 쉽게 구별할 수 있었으나 국내 곶감농가들이 직접 중국으로 건너가 곶감을 생산, 국내로 유입시키면서 구별이 거의 불가능해졌다.

가격도 1kg당 1만여 원 선에 유통돼 국내산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중국산이 국내 곶감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30% 정도.

이 때문에 상주곶감발전협의회는 지난해 6월 등록된 지리적표시제에 따라 208개 농가를 대상으로 곶감 생산이력제를 실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농가들마다 고유번호가 새겨진 홀로그램 바코드 스티커를 부착도록 제작·보급했으며 200~250개들이 특·상품용 유통상자 1만 5천 개를 제작해 사용토록 했다.

곶감협의회 이재훈 사무국장은 "합동단속반을 편성해 상주역의 대형 매장과 곶감시장, 도로변 등을 대상으로 원산지 허위 표시를 단속하고 있지만 쉽지가 않다."고 말했다.

상주·엄재진기자 2000jin@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