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인구의 장·노년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대구시가 지난해 말을 기준으로 작성한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대구의 인구는 2006년(251만 3천219명)에 비해 549명이 줄어든 251만 2천670명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시 인구는 2003년 254만 4천811명에서 2004년 253만 9천738명, 2005년 252만 5천836명 등으로 2003년 이후 4년 연속 줄었다. 하지만 감소율은 2004년 0.20%(5천73명), 2005년 0.55%(1만 3천902명), 2006년 0.50%(1만 2천617명)에서 지난해에는 0.02%(549명)로 완화됐다.
하지만 지난해 경제활동인구(15세 이상~65세 미만)는 184만 9천449명으로 전년에 비해 0.03%(581명) 줄었고,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22만 1천341명으로 전년에 비해 3.2% 늘었다. 노인인구는 전체인구의 8.8% 수준이다.
인구가 감소한 연령대는 0~9세가 4.68%(1만 2천510명)로 가장 높았고 20~29세가 2.82%(6천278명), 30~39세가 2.44%(1만 734명)로 뒤를 이었다. 이는 ▷출산율 저하(아동) ▷학업, 취업, 결혼(20대) ▷취업, 주택 사정(30대) 등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주요 경제활동 대상인 20, 30대의 인구가 준 대신 50대 이상 중·장년층 인구는 크게 늘어났다. 50~59세가 1만 3천843명, 60세 이상이 1만 4천864명이나 증가한 것.
또 구군별로 보면 중구(7만 9천776명, +521명)와 수성구(44만 8천695명, +7천146명), 달서구(59만 8천35명, +2천986명), 달성군(16만 2천854명, +2천161명) 등 4곳은 증가했고, 동구(33만 7천460명, -1천612명)와 서구(23만 9천868명, -5천719명), 남구(17만 9천321명, -1천837명), 북구(46만 6천661명, -4천195명) 등 4곳은 감소했다.
반면에 가구 수는 매년 꾸준히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07년 가구 수는 88만 3천920가구로 2006년(87만 5천173가구)에 비해 1%(8천747가구) 증가했다. 이는 아파트 청약에 따른 신규 아파트로의 분가, 단독세대 증가 등 때문으로 풀이된다.
김교성기자 kgs@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백종원 갑질 비판하던 저격수의 갑질…허위 보도하고 나 몰라라
'곳간 지기' 했던 추경호 "李대통령 배드뱅크 정책 21가지 문제점 있어"
채무탕감 대상 중 2천명이 외국인…채무액은 182억원 달해
[정경훈 칼럼] 집권 세력의 오만과 국민 조롱, 국민이 그렇게 만들었다
李정부, TK 출신 4인방 요직 발탁…지역 현안 해결 기대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