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로에 드러눕는 한이 있어도 철도를 이설하겠습니다."
김주현(63) 영동선 봉화구간 이설 추진위원장은 "철도가 도심 한복판을 찢어놔 지역 발전의 근간을 뿌리째 흔들고 있다."며 "군민들의 행복추구권을 되찾는 일이므로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기필코 철도 이설을 일궈내겠다."고 강력한 의지를 표명했다.
"참여정부가 추진한 혁신도시, 공기업 지방 이전 등은 오히려 농촌을 더욱 소외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며 "낙후된 봉화지역을 살리기 위한 자구책으로 철도 이설을 추진하게 됐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1955년 개통된 영동선 철도는 50여 년간 지역발전을 가로막는 걸림돌로 작용해왔다."는 김 위원장은 "봉화읍 문단리 사암건널목과 거촌역 간 14㎞ 구간에는 12개의 크고 작은 건널목이 설치돼 주민들 간 단절, 생활불편 등 지역개발에 숱한 부작용을 초래해 왔다. 전국을 다 찾아봐도 이런 곳은 없다."며 "특히 14㎞ 구간에 국도 36호선(영주~봉화)이 4회 교차하고 무인건널목 4개소와 농어촌도로 횡단 4개소 등 12개의 건널목이 설치돼 1999년부터 현재까지 36건의 철도 관련 사고가 발생, 막대한 피해를 입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수익은 철도공사가 챙기고 자치단체는 철도 건널목 관리인 봉급까지 지급하는 이런 억지가 어디 있느냐?"면서 "1999년 봉화읍 시가지 도시계획도로 확장 당시 건널목을 확장하면서 철도청이 일방적으로 시설비와 향후 관리비, 민·형사상 책임까지 자치단체가 책임지도록 하는 불공정 협약(운영관리 협약서)을 체결하는 바람에 1999년부터 2007년까지 봉화읍 제1건널목과 적덕건널목의 유지보수비로 연간 1억 1천여만 원씩 9년간 9억 9천여만 원을 부담, 가뜩이나 어려운 지방재정을 거덜내고 있다."고 불만을 터뜨렸다.
"철도 이설 없이는 더 이상의 봉화 발전은 기대할 게 없다."는 김 위원장은 "현재 철도주변 완충녹지(5만 4천930㎡)에서 생활하는 주민들은 소음피해와 철도변(10~15m) 개발행위 제한으로 토지이용에 제한을 받고 있어 건물 신축이 어려울 뿐 아니라 군 장기발전을 위한 도시 계획수립 자체도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앞으로 철도 이설에 필요한 타당성조사 용역과 이설촉구 주민 서명운동을 펼쳐 건설부, 철도공사, 국민고충처리위원회, 한나라당 등에 전달하겠다. 주민들의 뜻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그동안 지역에서 송리원댐 반대 투쟁위원장, 봉화군민 생존권 쟁취 대책위원장, 봉화군 이장연합회 회장, 인구 늘리기 추진위원회 부위원장, 낙동강 특별법 반대대책위원 등을 맡아 주민들의 고충과 애로를 대변해 왔다.
봉화·마경대기자 kdma@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백종원 갑질 비판하던 저격수의 갑질…허위 보도하고 나 몰라라
'곳간 지기' 했던 추경호 "李대통령 배드뱅크 정책 21가지 문제점 있어"
채무탕감 대상 중 2천명이 외국인…채무액은 182억원 달해
李대통령, 사법고시 부활 거론에…국정위 "논의 대상인지 검토"
李정부, TK 출신 4인방 요직 발탁…지역 현안 해결 기대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