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년 만에 찾아온 대형 공사인데….'
올해부터 본격 사업에 들어가는 경부고속철 도심 통과 구간 정비 사업을 두고 대구 지역 건설 업체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1조 원을 넘는 전체 공사비 중 지역 업체에 발주되는 토목과 건축 공사 금액만 2천500억 원으로 단일 규모 관급 발주 사업으로는 2000년 이후 지역 최대 규모지만 지역 업체들의 사업 규모가 영세해 정작 사업 수주를 할 수 있는 업체 수가 제한받는 때문이다.
건설협회 대구지회 관계자는 "경부고속철 정비 공사가 지역 우선 배정 사업으로 대구에 주소지를 둔 업체에 공사 발주가 돌아가고 전체 공구도 30~40개에 이르지만 280여 개에 이르는 지역 업체 중 70억 원 이상 공사를 수주받을 수 있는 실적을 가진 곳은 10여 곳 정도에 불과하다."며 "실적에서 만점을 받지 못하면 관급 공사 수주가 거의 어렵다."고 밝혔다.
이 같은 현상은 IMF 이후 대구에서 발주된 대규모 관급 공사가 없었던 탓에 폐업을 하거나 타 지역으로 전출한 업체가 상당수인데다 남아 있는 업체들은 그동안 관급 공사 참여 기회가 적어 수주 실적이 부족한 때문이다. 또 지역 내에서 이름이 알려진 대형 건설사들은 주택 사업으로 인한 부채 비율 상승으로 수주 자격에 제한을 받고 있다.
대구에서 종합건설면허를 가진 업체수는 2004년 378개에 달했지만 90여 개 업체가 폐업이나 타지로 주소를 옮기면서 지난해 말 기준, 283개로 줄어든 상태다.
반대로 외지 업체들의 대구 진출은 가속화될 전망이다.
현행 규정상 회사 주소지를 옮기면 기간에 상관없이 '지역 업체 우선 배정' 혜택을 받을 수 있어 고속철 정비 사업이나 지하철 3호선 사업, 혁신도시 조성 등 올해부터 대구에서 본격 발주되는 사업 수주를 위해 주소지를 아예 대구로 옮기는 외지 업체들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것.
건설협회 관계자는 "지난해 연말부터 외지 업체들의 대구 이전 현상이 불거지고 있어 협회 차원에서 주소지 기간 제한 등 대응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며 "간만에 대형 공사가 시작돼 회원사들의 어려움을 덜 수 있게 됐지만 정작 혜택을 받는 업체는 제한받고 있어 또 다른 고민"이라고 밝혔다.
이재협기자 ljh2000@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백종원 갑질 비판하던 저격수의 갑질…허위 보도하고 나 몰라라
'곳간 지기' 했던 추경호 "李대통령 배드뱅크 정책 21가지 문제점 있어"
채무탕감 대상 중 2천명이 외국인…채무액은 182억원 달해
李대통령, 사법고시 부활 거론에…국정위 "논의 대상인지 검토"
李정부, TK 출신 4인방 요직 발탁…지역 현안 해결 기대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