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를 비롯한 지방 부동산 시장의 '시름'이 최근 들어 더욱 깊어지고 있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서 거래세 및 양도소득세 감면 방안 등 부동산 대책을 잇따라 발표하고 있지만 오히려 부동산 시장에서 매매 거래는 자취를 감추고 있기 때문이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거래세 및 양도세 인하 방침이 발표되면서 그나마 있던 매수세마저 관망세로 돌아선데다 정작 기대했던 지방 부동산 대책안은 발표되지 않는 등 시장 불확실성이 이어지면서 시장이 숨죽이고 있는 상태"라며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의 등장으로 거래가 살아날 것으로 기대했지만 시장 상황은 오히려 더욱 악화됐다."고 밝혔다.
◆자취 감춘 거래
"올들어 매매 거래를 한 건도 못했을 뿐 아니라 상담조차 사라졌습니다."
대구 수성구 범어동 중개업소 부동산 하우스의 이성희 소장은 "대통령 선거를 전후해서 거래가 반짝 살아났지만 본격적인 겨울 이사철인 요즘은 거래는 물론 문의 전화까지 완전히 실종된 상황"라며 "이런 상태가 몇달 이어지면 문닫는 중개업소가 더욱 늘어날 것"이라고 하소연했다.
거래 실종의 첫번째 원인은 거래세와 양도세 인하 발표.
취·등록세를 현행 2%에서 1%로 낮추면 거래는 살아나지만 역으로 정책이 시행에 들어가기 전까지는 거래가 대폭 줄어들게 되는 탓이다. 시행 시기가 정해지지 않은 '거래세 인하' 방침이 오히려 부동산 시장에서는 '독'이 되고 있는 셈이다.
여기에다 고가 1주택자에 대한 양도세 및 종부세 인하 등 수도권 위주의 정책이 잇따르면서 지방 부동산 대책도 나올 것이란 기대감이 더해지면서 관망세가 더욱 굳어지고 있다.
부동산 114 이진우 대구.경북 지사장은 "6억 이상 고가 주택에 대한 양도세 및 종부세 인하는 현재 수도권 거래 활성화에만 도움이 될 뿐"이라며 "지방 시장에서는 합산 가격 6억 미만 다주택자에 대한 양도세 인하 조치 및 기준 시가 적용, 대출 규제 완화 등의 기대감만 있어 매도·매수자 모두 거래 시점을 유보하고 있다."고 말했다.
신규 분양 시장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연말들어 일부 단지를 중심으로 미분양 거래가 활기를 보였으나 새해 들어서는 다시 모델하우스에 인적이 끊어지고 있는 것.
분양대행사 장백 박영곤 대표는 "모델하우스를 한두차례 방문한 희망 고객들을 대상으로 마케팅을 하고 있지만 대다수가 '좀더 지켜보자.'는 답만을 하고 있다."며 "대선이 끝나면 시장 불확실성이 사라질것으로 기대했지만 향후 시장 예측이 더욱 어려워진 것 같다."고 했다.
◆지방 대책안 조기 시행을
23일 대한건설협회는 양도소득세, 종합부동산세 등 주택 관련 세제 완화의 과감한 추진을 비롯해 내년 실시를 고려 중인 총부채상환비율(DTI) 등 주택 대출관련 규제 완화를 올 상반기로 앞당겨 줄 것을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 요구했다.
협회 관계자는 "인수위가 발표한 1주택자 양도세 및 취·등록세 완화 등으론 현재 주택시장의 위기를 돌파하기에는 역부족"이라며 "이런 상황이 계속 이어지면 건설업체 뿐 아니라 지방 대도시 경제에도 상당한 여파를 미칠 것"이라고 주장했다..
지방 부동산 시장의 향후 가장 큰 과제는 시장에서 돌고 있는 '막연한 희망'이 장기간 이어지거나 '실망으로 결론'이 날 경우 침체의 골이 더욱 깊어질 수 있다는 점.
현재 거래세 인하는 방침은 정해졌지만 지방 세수와 맞물린 탓에 정확한 시행 시기가 불투명한 상태며 지방 부동산 대책안도 곳곳에서 목소리가 터져나오고 있지만 수도권 시장이 들썩이면서 힘이 상대적으로 약해지고 있다.
화성산업 권진혁 영업부장은 "대구의 경우 미분양 물량이 1만 2천 가구를 넘은 상황에서 시장 불확실성으로 인한 매수세까지 사라진다면 고사 상태에 직면할 것"이라며 "현실성 있는 대책안과 함께 시행 시기에 대한 정확한 발표가 서둘러 있어야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재협 기자 ljh2000@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백종원 갑질 비판하던 저격수의 갑질…허위 보도하고 나 몰라라
與 진성준 "집값 안 잡히면 '최후수단' 세금카드 검토"
'곳간 지기' 했던 추경호 "李대통령 배드뱅크 정책 21가지 문제점 있어"
채무탕감 대상 중 2천명이 외국인…채무액은 182억원 달해
李정부, TK 출신 4인방 요직 발탁…지역 현안 해결 기대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