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가 우레를 먹었다
우레를 먹은 나무는 암자의 산신각 앞에 바위 위에 외로 서 있다
암자는 구름 위에 있다
우레를 먹은 그 나무는 소나무다
번개가 소나무를 휘감으며 내려쳤으나
나무는 부러지는 대신
번개를 삼켜버렸다
칼자국이 지나간 검객의 얼굴처럼
비스듬히
소나무의 몸에 긴 흉터가 새겨졌다
소나무는 흉터를 꽉 물고 있다
흉터는 도망가지도 없어지지도 못한다
흉터가 더 푸르다
우레를 꿀컥 삼켜 소화시켜버린 목울대가
툭 불거져나와 구불구불한
저 소나무는
매 시행 앞에 단어가 반복되는 독특한 형식의 시. 시인이 강조하여 말하길, 소나무가 유난히 구불구불한 까닭은 우레를 삼켰기 때문이라고. 우레를 먹고 용이 되어 승천하기 위해서라고. 그래서 합천 묘산의 그 늙은 소나무 껍질이 용 비늘을 닮았었구나. 용이 승천하기 위해선 엄청난 에너지가 필요할 터. 캄캄한 밤 천둥 번개 내려쳐 만상이 숨죽이고 엎드려 있을 때, 높은 바위 위에 외로 서서 소나무는 태양보다 뜨거운 낙뢰를 받아 삼켰으리라.
생각건대 이 나무는 경남 산청에 있는 정취암 산신각 앞 소나무가 아닐까 싶다. 목울대에서 허리 아래까지 길게 둘러가며 띠처럼 벼락무늬를 새긴 그 나무. 우리 동네 목욕탕에도 온몸에 용 문신을 띠처럼 두른 건달이 자주 들락거린다. 그런데 숱한 칼자국 숨긴 그 문신보다 작은 흉터 하나 없이 한평생을 보낸 노인의 흰 몸이 더 징그러운 건 무슨 까닭일까. (시인)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GPU 26만장이 李정부 성과? 성과위조·도둑질"
장동혁 "오늘 '李재판' 시작해야…사법부 영혼 팔아넘기게 될 것"
추미애 "국감 때 안구 실핏줄 터져 안과행, 고성·고함에 귀까지 먹먹해져 이비인후과행"
조국 "오세훈 당선, 제가 보고 싶겠나…내년 선거 피하지않아, 국힘 표 가져올 것"
강득구 "김현지 실장 국감 출석하려 했는데, 국힘이 배우자까지 부르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