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MB-朴, 언제 어떻게 만날까?

18대 국회 개원을 앞두고 4·9총선에서 당선된 친박 인사들의 한나라당 복당 문제가 정치권의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청와대가 이명박 대통령과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 간 회동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져 주목된다. 회동이 이뤄질 경우 어떤 형태로든 복당 문제에 대한 의견교환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기 때문이다.

양측 사정에 밝은 한 관계자는 이 대통령이 미국·일본 방문일정을 마치고 귀국한 뒤 박 전 대표와 회동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며 해외방문에 대한 성과를 설명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당내 여러 중진들과 함께하게 될지 여부 등 회동형식은 아직 정해지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박 회동이 성사될 경우 방미, 방일 성과보다는 친박 당선자들의 복당 문제와 7월 전당대회 이후 당운영 등에 대한 포괄적인 협조방안 등이 폭넓게 논의될 것으로 예상된다.

박 전 대표 측근인 유승민 의원은 18일 "현직 대표도 아닌 전직 대표와 대통령이 만나 국정현안을 논의하는 것은 말이 안 된다"면서 "그렇더라도 만나게 된다면 어떤 식으로든 복당 문제가 거론될 것이고, 그 문제를 제외한다면 만날 필요가 있겠느냐"고 말했다. 이 대통령과 만나게 된다면 의제는 복당 문제가 최우선적일 수밖에 없다는 말이다.

반면 청와대는 복당 문제에 대한 당 지도부의 입장이 강경한 상황에서 박 전 대표와 만나 복당 문제만 논의한다는 것은 맞지 않다는 입장이다. 따라서 청와대는 복당 문제보다는 방미성과 등과 국정 동반자관계 회복 등을 위한 자리가 되어야 한다는 점을 설득시키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하지만 박 전 대표 측이 복당 문제에 집착하고 있는 만큼 회동 전에 박 전 대표 측 입장을 충분히 듣고 당내 분위기가 진전된다면 복당 문제도 풀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와 관련 유 의원은 "복당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두분 모두 '그것도 하나 해결하지 못하느냐'고 지적하는 국민들로부터 상처를 받게 된다"며 "양측의 부담 때문에 물밑으로 충분한 의견 교환이 있은 뒤 회동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양측의 회동시기는 이 대통령 귀국 후 자연스럽게 잡힐 것으로 보인다. 오는 22일 한나라당의 총선 당선자 워크숍이 예정돼 있어 이 자리에서도 자연히 친박 당선자들의 복당 문제가 거론될 수밖에 없다. 워크숍 직후 당선자들과 이 대통령과의 청와대 만찬이 예정돼 있어 두 사람 간의 회동기회를 잡는 것은 어렵지 않을 전망이다.

박상전 기자 mikypar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