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하면 공부를 잘 할 수 있을까?' 학창시절 누구나 한번쯤은 머릿속에 담았던 생각일 것이다.
15세에 서울대에 합격한 뒤 20세에 최연소로 서울대를 졸업한 한혜민(23.사진)씨. 그에게는 과연 공부 잘하는 법에 대해 터득한 비법이 있을까?
지난달 29일 대구가톨릭대에서 이런 궁금증을 풀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됐다. 이 학교가 지역 고교생들의 학습 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기 위해 한씨를 초청, '공부 잘하는 비법'에 관한 특강을 연 것이다. 흥미를 끌만한 강의내용 덕에 이날 인근 고교에서 600명의 학생이 한씨의 강의를 듣기 위해 몰렸다. 특강이 열린 강당은 발디딜 틈도 없을 정도였다.
그는 자신이 밝혀낸 공부 잘하는 법이 '목적의식'이라고 했다. 어떻게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왜 공부해야 하는 것을 아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것이었다. "공부를 제대로 하려면 목적이 있어야 해요. 그냥 무작정 공부해서는 금방 지칩니다. 흥미도 금세 도망갑니다."
또 학습한 내용을 오래 기억하고 자신의 것으로 만들기 위한 방법으로 '배운 것 남 주기' 방법이 최고라고 했다. "학창시절 시험 직전에 제가 공부한 내용을 간단히 정리해서 친구들에게 강의해 줬어요. 강의를 준비하다 보면 저절로 내용들이 체계화되고 머릿속에 또렷이 각인되더군요."
한씨는 서울대 국민윤리교육학과에 입학한 뒤에도 이런 공부 방법을 통해 복수전공으로 천문학, 부전공으로 컴퓨터공학, 또 과학사와 철학까지 두루 섭렵하는 공부벌레가 될 수 있었다고 했다.
그의 아이큐가 궁금해졌다. 그는 대학 입학 직전 테스트를 받았더니 자신의 아이큐가 111이었다고 했다. 최연소 서울대 졸업으로 유명세를 탄 뒤 자신의 학창시절을 회고하며 쓴 '천재는 없다'라는 책 제목의 의미를 알 것 같았다. 한씨는 "공부를 잘하는데 아이큐는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결정적인 요인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번엔 어떻게 노는지에 대해 물었다. 분명 노는 것도 공부와 연관되는 답변이 나올 거라 예상했다. 역시 적중이었다. "단순히 노는 것이 아니라 스트레스를 단번에 날릴 수 있는 놀이법을 찾아야해요. 저는 산책이나 헬스, 야구 같은 격렬한 운동으로 놀아요. 오랜 시간 공부하면서 자칫 뭉칠 수 있는 근육을 풀고 스트레스도 날릴 수 있어야지요."
그래서 그는 후배들에게 건강하지 않으면 공부를 잘 할 수 없다고 했다. "아무리 공부하고 싶어도 체력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힘들지요. 노는 것도 건강을 위한 것을 해야하는 이유입니다."
정욱진기자 pencho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백종원 갑질 비판하던 저격수의 갑질…허위 보도하고 나 몰라라
'곳간 지기' 했던 추경호 "李대통령 배드뱅크 정책 21가지 문제점 있어"
채무탕감 대상 중 2천명이 외국인…채무액은 182억원 달해
[정경훈 칼럼] 집권 세력의 오만과 국민 조롱, 국민이 그렇게 만들었다
李정부, TK 출신 4인방 요직 발탁…지역 현안 해결 기대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