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지방이전에 만족하는 기업들

지방으로 이전했거나 또는 이전을 준비하고 있는 기업들이 중앙 및 지방자치단체가 제공하고 있는 각종 인센티브와 이전에 만족하고 있다. 지식경제부가 2004년부터 2007년까지 지방이전에 따른 보조금을 지원한 170개사 전부를 대상으로 지방이전 실태를 조사해 내놓은 결론이다.

이에 따르면 지방이전 기업들은 76%가 현지에서 인력을 모집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력 모집 결과에 대해서도 48%가 '만족' 혹은 '매우 만족'이라는 답변을 내놓은 반면 '불만' 혹은 '매우 불만'은 14%에 불과했다. 이는 지자체의 기업 유치가 현지 인력의 일자리로 이어지는 결과가 된다는 사실을 확인케 해 줬다. 대구'경북이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해 단 하나의 기업 유치도 게을리해서는 안 되는 이유인 것이다.

그동안 수도권은 수도권기업의 지방이전 인센티브에 대해 아무리 인센티브를 주더라도 기업들이 지방이전보다는 땅값과 임금이 상대적으로 싼 해외 이전을 택할 것이므로 지방에서의 일자리 창출은 어렵다는 논리를 펴왔다. 결국 지방이전 인센티브제가 수도권도 침체시키고 지방도 몰락시킨다는 주장이었다. 수도권은 지금도 이 같은 논리를 바탕으로 수도권 규제 완화를 끊임없이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이번 지경부의 조사결과는 수도권기업 유치에 안간힘을 쏟고 있는 지자체에 큰 힘이 된다. 수도권 지방이전 기업의 만족도가 높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수도권의 주장 중 상당 부분이 설득력을 잃게 됐기 때문이다. 지경부의 첫 전수조사에서 보듯 지방이전 기업들의 만족도는 높은 반면 중국, 베트남 등 해외로 진출했던 기업들은 각종 규제 강화 등으로 오히려 국내로 U턴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번 조사에서 지방이전 기업들이 지방의 장점으로 입지와 행정지원을 꼽은 것에도 주목한다. 지방이전 기업들의 입지여건에 대한 만족도가 75%에 이른 반면 불만족은 5%에 불과했다. 행정지원이 2순위로 꼽힌 것도 시사하는 바 크다. 각 지자체들이 기업 유치 노력을 가속화하면서 규제 완화 등으로 기업하기 좋은 여건을 조성하고 있다는 방증이기 때문이다. 대구'경북도 이번 조사 결과를 잘 활용해 기업하기 좋은 여건 조성에 소홀하지 말아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