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이념논쟁에서 벗어난 교과서를 만들라

좌편향 고교 근'현대 역사 교과서를 바로잡으려는 움직임이 봇물처럼 터져 나오고 있다. 지난 8일 전국 16개 시'도교육감협의회가 이념 편향적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를 교단에서 퇴출키로 결의한 데 이어 '교과서 포럼'이 근'현대사 교과서 수정을 교육과학기술부에 요청했다. 통일부와 대한상공회의소 등 19개 기관이 개정을 요구해 둔 교과서 부분이 3천723곳에 이를 정도다.

물론 이 많은 요구가 다 타당하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교과서 개정 요구가 봇물을 이루는 것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교과서에 대한 문제도 그만큼 많다는 웅변이다. 현재의 교과서는 노무현 전 대통령이 대한민국의 역사를 '정의가 패배하고 기회주의가 득세한 역사'라고 선언한 후 수정된 것들이다. 2005년부터 3년간 역사교과서 한 종류에서만 307건이 수정됐다. 한 교과서는 지금도 '한반도 분단은 미군의 남한 점령 탓이 훨씬 크다' '소련군은 해방군의 성격'이라고 쓰고 있다.

교과서는 국가 미래의 상징물이다. 일본의 독도 문제 등 왜곡된 교과서에 대해서 한국민이 민감하게 반응하며 즉각적인 시정을 요구하는 것도 국가의 미래와 연결되기 때문이다. 왜곡된 지식을 배우며 자란 청소년들이 왜곡된 가치관을 갖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역사 교과서 기술에는 엄정한 객관성이 강조된다. 이를 바탕으로 기술된 교과서라면 정권이 바뀔 때마다 개정논의가 나올 까닭이 없다. 정권이 교체될 때마다 교과서 수정 및 개정이 논의되는 것은 스스로 역사를 부정하는 것이다. 최근 교과서 개정을 두고 이념논쟁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이번 교과서 개정은 여기서 벗어나야 한다. 정권이 바뀐다고 해도 꿈쩍 않을 그런 교과서를 만들어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